
카카오톡 안으로 들어온 ‘지갑’…신분증, 자격증, 증명서 등 편리하게 보관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신분증, 자격증, 증명서를 카카오톡에서 보관, 관리할 수 있는 ‘지갑’으로 연내 출시한다. 이용자들이 분실이나 훼손 우려 없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본인 증명이 가능하다는 것.

또 위·변조 및 부인방지를 위해 발급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등 최고 수준의 보안 기술을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최근 이통사나 경쟁 포털이 디지털신분증을 속속 내놓지만 강력한 메시징 플랫폼인 카톡에 지갑을 탑재해 단숨에 대중화와 함께 서비스 주도권을 쥐겠다는 포석이다.
조수용 공동대표는 “일상에서 본인을 증명하는 것이 불편한 부분에 주목해 ‘디지털 신분증’ 개념을 생각했고 카톡 안에 ‘지갑’ 이라는 공간을 준비하게 됐다”며 “디지털 기반 사회에서 모바일로 간편하고 안전하게 신원을 저장하고 확인할 수 있다면 일상이 더 편리해 지고 나중에는 카톡이 실물 지갑을 완전히 대체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콘텐츠 구독플랫폼 새로 구축...창작자-이용자 연계카카오는 내년 상반기 중 콘텐츠 전문성과 이용자 취향을 반영하는 신규 콘텐츠 구독 플랫폼도 선보인다. 창작자가 뉴스/미디어, 음악, 게시글,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로 양질의 콘텐츠를 창작해 유통하면, 이용자가 관심사에 따라 여러 콘텐츠를 구독하며 상호작용하는 관계 기반 공간이다.

콘텐츠 구독 플랫폼은 PC와 모바일을 통해 서비스되며, 카카오톡의 세 번째 탭(#탭)과도 연결된다. 카카오는 창작자와 이용자가 콘텐츠 구독 플랫폼을 통해 양방향 소통 및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포털 다음의 서비스는 새 서비스와 병행하며 이용자의 뉴스 선택권 강화 등 편의 제고를 위한 서비스 고도화 작업도 이어가기로 했다.
카톡 채널도 비즈니스 중심 개편...렌탈·정기배송 등 구독 서비스도 시행아울러 카카오는 파트너들이 비즈니스 성격과 특성을 살려 채널 홈을 구성할 수 있도록 ‘카카오톡 채널’도 연내 개편한다. 파트너가 비즈니스에만 집중하도록 다양한 템플릿과 도구를 제공해 ‘미니앱’처럼 사용할 수 있게한다는 방침이다. 파트너들은 예약, 구독, 배달, 티켓예매 등 목적에 따라 템플릿을 선택하고, 자사 웹사이트, SNS 채널 등을 채널 홈에 연동시킬 수 있다. 별도의 앱 없이도 카톡 채널만으로 창업자나 소상공인들에게 사업확장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뜻으로 경쟁사에 뒤진 쇼핑서비스를 강화하려는 포석이다. 회사 관계자는 "카톡 안에서 파트너가 고객을 발견하고 관계를 맺고 꾸준히 성장할 수 있는 ‘비즈니스를 담는 그릇’으로써 카톡 채널을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멜론도 아티스트와 리스너를 직접 연결하는 ‘트랙제로’ 서비스와 함께 활발한 창작 환경을 지원하는 플랫폼인 ‘멜론 스튜디오’를 내달 선보인다. 트랙제로는 창작자의 0번째 트랙, 비하인드 트랙이라는 의미로 아티스트가 미발매곡을 자유롭게 업로드해 팬들에게 선보이는 공간이다.
여민수 공동대표는 “카카오는 파트너들의 든든한 조력자가 되고자 한다”며 “이용자와 비즈니스 파트너를 밀접하게 연결해 모두에게 진화된 디지털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수용 공동대표는 “카카오톡을 통해 이용자들이 더 다양하고 소중한 관계를 맺고, 파트너들은 카카오톡을 통해 비즈니스를 더욱 확장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