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 관련기술 고도화 박차…"한국이 국제표준도 선점해야"

머니투데이 민동훈 기자, 이재윤 기자 2020.10.29 14:22
글자크기

[그린뉴딜엑스포]R&D세션 패널토론

한선화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정책본부장, 정기정 국가핵융합연구소 ITER 한국사업단장, 이영덕 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 채호정 한국화학연구원 화학공정연구본부 공정기반연구센터장, 강웅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열유체표준그룹 유량측정팀장(왼쪽부터)이 29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2020 그린뉴딜 엑스포' R&D 세션에서 패널토론을 하고 있다. / 사진=이기범 기자 leekb@한선화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정책본부장, 정기정 국가핵융합연구소 ITER 한국사업단장, 이영덕 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 채호정 한국화학연구원 화학공정연구본부 공정기반연구센터장, 강웅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열유체표준그룹 유량측정팀장(왼쪽부터)이 29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2020 그린뉴딜 엑스포' R&D 세션에서 패널토론을 하고 있다. / 사진=이기범 기자 leekb@


#"수소 생산과 저장, 운송, 활용에 이르기까지 기술 발전 속도를 더 높이고, 상용화에 박차를 가해야 합니다."(한선화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정책본부장)

#"수소 기술 융합 속도에 맞춰 정부가 미리 앞서 제품 표준과 안전 기준 등을 마련하면 시장 진출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이영덕 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




'2020 그린뉴딜엑스포' 행사 일환으로 29일 열린 컨퍼런스 'R&D(연구개발)' 세션에서 전문가 패널들은 수소 저장기술과 표준화 등에 대한 수준 높은 질의 응답을 나눴다.

이 토론의 사회를 맡은 한선화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정책본부장은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기술개발'을 주제로 발표한 이영덕 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에게 "이 발전시스템이 어느 분야에서 가장 먼저 적용 가능하냐"고 물었다.



이 책임연구원은 "연구소에서 기술을 개발하면 기업이 상용화해야 하는데, 가장 큰 문제는 시장이 있어야 한다는 점"이라며 "정부 정책 방향을 감안할 때 우선 건물에 들어가는 소형발전기와 분산형 전원 등 소규모 발전시설에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기술을 가장 먼저 쓸 수 있다"고 답했다.

한선화 본부장은 "연료전지와 엔진, 터빈 등은 서로 전혀 다른 분야다 보니 제도나 규제 등에 있어 사각지대가 우려된다"고도 물었다. 이 책임연구원은 "제품이 먼저 나오고 제도나 규제가 뒤따르는 경우가 많다"고 동의한 뒤 "수소 경제는 우리가 선도하는 분야인 만큼 정부가 앞서 바라보고 제품 표준을 마련해 주면 좋겠다"고 밝혔다.

'수소와 암모니아, 퍼펙트 메리지'라는 주제로 발표한 채호정 한국화학연구원 공정기반연구센터장에게는 암모니아를 수소저장 기술로 활용할 경우 주민 민원이 거세지 않겠느냐는 질문이 제기됐다.


이에 채 센터장은 "발전 분야에서 암모니아는 주민 민원 요소가 될 수 있어 엄격한 규제와 관리가 필요하다"며 "현재 개발 중인 다양한 고체 암모니아 기술을 활용하면 주민 민원의 많은 부분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수소 모빌리티 충전상거래 공정성 확보를 위한 수소유량 현장 표준시스템 개발'을 주제로 발표한 강웅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유량측정팀장에게는 수소분야 국제표준을 왜 한국이 주도해야 하느냐는 질문이 주목받았다.

이에 강 팀장은 "국제 표준이 정해지면 각국의 제품표준, 안전인증 기준 등이 따라서 정해진다"며 "우리가 제안한 표준이 국제표준으로 채택되면 국내 기업의 글로벌 진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ITER(국제핵융합실험로) 사업에 대해 발표한 정기정 국가핵융합연구소 ITER한국사업단장에게는 ITER 프로젝트에 참여한 국내 핵융합 생태계 유지 방안이 무엇이냐는 질문이 제기됐다.

정 단장은 "ITER 뒤를 이을 데모플랜드(실증로)를 추진해야 현재 구축된 인력과 기술 등 생태계를 유지할 수 있다"면서 "그래야 새로운 도전도 가능하고 핵융합에너지를 현실화 할 수 있다"고 답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