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의 '이건희 공과론 추모'…이중잣대 비판받는 이유

머니투데이 이동우 기자 2020.10.26 11:14
글자크기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한국판 뉴딜 당정청 워크숍에서 발언하고 있다. / 사진=공동취재사진(뉴시스)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한국판 뉴딜 당정청 워크숍에서 발언하고 있다. / 사진=공동취재사진(뉴시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고(故)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에 대한 추모사가 때아닌 뭇매를 맞고 있다. 이 대표가 제기한 '공과론'이 앞선 여권 인사들에 대한 추모에는 엄밀히 적용되지 않았다는 이중잣대 논란이다.

이 대표는 지난 2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고인께서는 고비마다 혁신의 리더십으로 변화를 이끄셨다. 그 결과 삼성은 가전, 반도체, 휴대폰 등 세계적 기업으로 도약했다"며 이 회장의 마지막을 애도했다.



그는 "'생각 좀 하며 세상을 보자' 같은 고인의 여러 말씀은 활기 있고 창의적인 기업문화를 만들었다"며 "우리 사회에도 성찰의 고민을 던져 주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이 대표는 이 회장에 대한 비판적 입장도 내놨다. 이 대표는 "재벌중심의 경제 구조를 강화하고, 노조를 불인정하는 등 부정적 영향을 끼쳤다는 점도 부인할 수 없다. 불투명한 지배구조, 조세포탈, 정경유착 같은 그늘도 남겼다"고 말했다.



이어 "삼성은 과거의 잘못된 고리를 끊고 새롭게 태어나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공과론'으로 치환한 것이 적절치 못했다는 반응이 나온다. 최소한 장례 기간에는 반도체 선구안 등 혁신적인 리더십을 보인데 대한 애도의 뜻이 우선이라는 지적이다.

고 박원순 서울시장 등 여권 인사의 갑작스러운 죽음에는 공과론이 등장하지 않았다는 점도 비판의 한 지점이다. 이 대표의 페이스북 댓글에 한 누리꾼은 "노회찬, 박원순 조문사에서 부하직원 성추행하지 말고 정치인으로서 어두운 점을 반성하라고 쓴 사람이 있느냐. 품격을 되찾고 부끄러운 줄을 알라"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박 전 시장 죽음 당시 SNS(사회관계망서비스)에 "마음이 아픕니다. 박원순 시장님의 명복을 빕니다. 안식을 기원합니다. 유가족들께 위로의 마음을 전합니다"라는 글만 남겼다. 장례 이후에야 박 전 시장의 비서 성추행 등 논란을 언급했다.

정의당 역시 조문 거부 등 이 회장에 대한 비판적 추모사를 내놔 비슷한 비판을 받고 있다. 정호진 정의당 수석대변인은 (이 회장이 만든) 그 그림자가 이재용 부회장에게 이어졌다"며 "(이 부회장은) 이제 그 어두운 역사의 그림자를 지우고, 재벌개혁을 자임하는 국민 속의 삼성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과거 김정일 조문하자고 했던 정의당이 이건희 회장 조문은 안 하겠다고 한다"고 비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