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울, 100일 된 아긴 울고…엄마는 갈 곳이 없었다

머니투데이 남형도 기자 2020.10.22 04:40
글자크기

[홀로여도 엄마일 수 있도록-②]임신 기간엔 60만원 지원 전부, 시설 위주 지원…그마저도 정보 몰라 '깜깜'

편집자주 "어떻게 아기를 팔아, 그러고도 네가 엄마야?" 중고장터에 아기를 올린 엄마를, 다들 그렇게 힐난하고 있다. 백번 잘못한 게 맞다. 그러나 누구나 사정(事情)이란 게 있다. 일이 벌어진 데에는 그만한 까닭이 있단 얘기다. 그걸 들어주고, 이유를 찬찬히 살펴야 같은 일이 생기지 않는다. 권석천 작가는 저서 '사람에 대한 예의'에서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숨을 쉬듯 누군가를 손가락질하지만, 당신과 나 역시 한 발만 잘못 디뎠어도 다른 삶을 살게 됐을 것이다." 그러니 눈높이를 맞춰 바라봐주면 어떨까. 홀로여도 엄마일 수 있도록.

/삽화=임종철 디자인기자/삽화=임종철 디자인기자


한겨울이었다. 차가운 방엔 100일 된 아기엄마가 함께 있었다. 미혼모였다. 월세는 3개월 밀렸고, 공과금도 마찬가지였다. 먹을 것도 없었다. 아이에겐 모유를 먹였지만, 정작 엄마는 밥을 거의 먹지 못했다. 설상가상, 집주인은 나가라고 했다.

살 길을 찾아야 했다. 엄마는 미혼모 쉼터 몇 군데를 두드렸다. 아기를 낳았다고 받아주지 않았다. 미혼모 공동생활가정을 찾아봤다. 입소 대기자로 계속 기다려야 했다. 정부가 지원하는 복지서비스는 뭐가 있는지도 전혀 몰랐다.



민간 비영리단체서 도왔다. 러브더월드는 정부복지서비스와 연계해주고, 월세·공과금·식료품·양육물품과 아이 돌잔치도 지원했다. 쉼터 숙식도 5개월 지원했다. 엄마는 "식료품과 밑반찬, 과일 등을 들고 가정에 와준 게 가장 좋았다"고 했다.

미혼모에 대한 지원, 비용과 시설
한겨울, 100일 된 아긴 울고…엄마는 갈 곳이 없었다


정부의 미혼모 지원은 크게 봐선 두 가지다. 비용을 지원하거나 시설에 들어가거나.

10개월 남짓한 임신 기간엔, 국민행복카드 60만원을 지원하는 게 전부다. 긴급 생계비는 40~50만원씩, 최대 3개월까지 지원 가능하다.

아동양육비는 18세가 되기 전까지, 자녀 한 명당 월 20만원씩 준다. 청소년 한부모는 월 35만원씩이다. 기준은 각각 중위 소득 52% 이하(월 152만원), 60% 이하다. 생계 급여 수급자는 제외한다.


한부모가족시설은 지난해 12월 말 기준 총 131개소다. 입소 기간은 3년 이내로 하되, 최장 2년까지 연장할 수 있다. 무주택 저소득자만 들어갈 수 있다. 모자 가족, 부자 가족, 일시지원 등 성격에 따라 다르다. 숙식, 심리치료, 자립준비 등을 지원한다.

지원 부족, 시설은 못 가거나 기피하거나
한겨울, 100일 된 아긴 울고…엄마는 갈 곳이 없었다
그러나 미혼모가 자립해 아이를 키우기엔 지원이 턱없이 부족하다.

열악한 재정 상황만 봐도 그렇다. 한국미혼모지원네트워크가 2016년 발간한 '차별경험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의 월 평균 총 소득은 평균 117만원. 100만원 미만이 33.4%에 달했다. 근로 소득이 없는 경우가 46.4%였고, 정부 지원금 액수는 30만원 미만(28.5%)이 가장 많았다.

시설 경험이 있는 경우는 20%에 불과하다. 들어가지 못하거나, 기피하는 경우가 많아서다.

유미숙 한국미혼모지원네트워크 팀장은 "시설이 각 지역마다 있지 않고, 비슷한 상황에 처한 사람들과 같이 생활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 때문"이라고 했다. 지역 사회를 떠나기 어렵거나, 반려견을 키우거나, 연인과 동거하는 이들도 있다. 들어가 평생 살 수 없는 점도 한계다.

그렇게 집에서 임신, 출산 위기 상황을 겪는 미혼모는 고립될 가능성이 높다. 미혼모임을 숨기고 생활해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 있을 가능성이 높다. 지역 사회 중심의 임신, 출산, 양육 서비스가 필요한 이유다.

아이 돌봄 서비스 '절실'
한겨울, 100일 된 아긴 울고…엄마는 갈 곳이 없었다
미혼모 자립을 위해선 아이를 맡길 곳이 필요하다. 돌봐줄 원가족과 관계는 나빠졌고, 직업 훈련을 하든, 일을 하든, 누군가 아이를 봐줘야해서다.

여성가족부 아이돌봄서비스(만 3~36개월 아동에 종일 돌봄, 만 12세 이하 아동에 시간제 돌봄)가 있지만 한계가 많다. 육아정책연구소 2018년 조사에 따르면 아이돌보미를 이용한 미혼모는 17.1%에 그쳤다. 차별이 우려되거나, 이용 가능 시간이 짧아서였다.

43개월차 아이를 키우는 미혼모는 자립을 위해 자격증 취득을 준비했다. 오전반은 9시부터 시작인데, 아이가 너무 어리고 떨어지려 하지 않아 등록을 포기했다. 아이돌보미를 신청해 오전이나 오후에 2시간쯤 맡기고 싶었으나, 해당 지역 신청율이 너무 높아 포기했다. 나중에 일을 구했으나, 아이를 맡길 곳이 없어 광주에서 친정인 목포까지 출퇴근을 해야 했다.

유 팀장은 "임신 7개월 정도에 긴급 생계비, 기초생활수급을 동시에 신청하면 아이가 나올 때쯤 선정이 가능하다. 신혼부부 전세 임대도 임신하면 신청할 수 있다"며 "생계비와 주거, 두 가지를 해결해 정착시키는 모델을 하려 하는데 민간에선 한계가 있다. 민간과 정부 자원이 협력해야 한다"고 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