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객 310,000명→61명, 여행업계 가을도 시리다

머니투데이 유승목 기자 2020.10.20 15:20
글자크기

패키지 송출객 -99.9% 급락한 하나·모두투어 3분기 예견된 '실적쇼크' 전망…연말 여행 고용대란 위기 조짐

지난 6월 서울 중구 모두투어 사무실이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무급 및 유급 휴직으로 텅 비어 있다. /사진=뉴시스지난 6월 서울 중구 모두투어 사무실이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무급 및 유급 휴직으로 텅 비어 있다. /사진=뉴시스


코로나19(COVID-19)가 낳은 '여행 불황' 터널의 끝이 보이지 않는다. 2분기 최악의 실적쇼크를 냈던 여행업계의 3분기 실적도 곤두박질 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장기화로 벼랑 끝에 몰리면서 겨울을 앞두고 구조조정 대란이 본격화하는 조짐이 보인다.

2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코로나 여파로 하늘길이 막히며 국내 여행산업이 고사 위기다. 올해 초 팬데믹 단계에 접어들 때만 하더라도 여름을 기점으로 여행수요가 반등할 수 있다는 전망이 업계 안팎에서 나왔었지만 코로나 진정은 커녕, 오히려 확산세가 거세지며 기대감이 무너졌다. 인·아웃바운드 해외여행이 끊기며 주요 여행사들의 사업실적은 처참할 정도다.



석달 간 패키지 송출객 61명 '충격'
여행객 310,000명→61명, 여행업계 가을도 시리다
국내 여행 대장주 하나투어의 3분기 송객실적을 살펴보면 7~9월 패키지(PKG) 송출객 수는 868명을 기록, 62만명을 보냈던 지난해와 비교해 99.9% 감소했다. 발 묶인 해외 거주자나 장기체류자, 비즈니스 수요로 추정된다. 여행은 관광 뿐 아니라 △상용(비즈니스) △공용(공무) △유학·연수 △기타(나머지+승무원) 등의 목적까지 아우르는데, 현재 단순 관광 수요는 '제로(0)'에 수렴하고 있다.



지난해 3분기 31만명의 패키지 여행객을 송출했던 모두투어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다. 2분기 53명에 이어 3분기에도 세 달간 해외로 보낸 해외 여행 패키지(PKG) 송출객 수가 고작 61명에 불과하다. 2000년대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나 글로벌 금융위기, 2010년대 동일본대지진이나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등 여행업계를 뒤흔든 위기상황에서도 경험하지 못한 충격적인 수치다.

증권가에선 두 업체가 2분기와 마찬가지로 3분기에도 최악의 실적쇼크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 메리츠 투자증권은 하나투어의 3분기 연결 매출액과 영업손실을 77억원, -455억원으로 전망했다. 노(NO)재팬 직격타를 맞은 와중에도 하나투어의 지난해 3분기 실적은 1831억원이었다. 사실상 매출측정이 무의미한 수준이다. 모두투어의 경우 매출과 영업이익이 52억원, -87억원으로 예상된다.

하나, 둘 쓰러지는 여행사…고용대란 위기
여행객 310,000명→61명, 여행업계 가을도 시리다
업계 양대산맥마저 아무런 힘을 쓰지 못하고 고꾸라지면서 영세 여행사 뿐 아니라 중견 여행업체에도 위기가 닥치고 있다. 그나마 보유 현금이 상당해 보릿고개를 버틸 수 있는 기초체력을 갖췄다고 평가 받는 하나·모두투어와 달리 지난해 노재팬부터 지속된 불황으로 체력이 방전된 여행사들은 눈물의 구조조정을 시행하고 있다. 아예 영업중단을 선언하고 겨울잠에 들어가는 모양새다.


한 때 업계 3위까지 올랐던 자유투어가 132명에 달했던 임직원을 올해 상반기 30명대로 줄였고, 이달 들어 나머지 인원도 전원 휴직에 돌입했다. 서울 청계천 인근 본사 사무실까지 정리하며 오프라인 영업활동을 전면 중단했다. 비교적 탄탄한 하드웨어를 갖췄다고 평가 받은 NHN여행박사 역시 전 직원 250명 중 10명을 제외한 나머지 인원에 대한 희망퇴직을 진행했다. 무급휴직 시행 3개월 만에 감원 카드를 꺼내든 것이다.

롯데그룹과 일본 최대 여행사 JTB가 합작한 여행사 롯데JTB도 최근 희망퇴직자 67명과 정리해고자 32명 등을 선정하는 등 감원에 나서고 있다. 장거리 노선에서 강세를 보인 참좋은여행도 모회사인 삼천리자전거가 매각예정비유동자산으로 분류한 상태다.

여행업계 시린 겨울 오나…"활로 마련해달라"
지난 3월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 내 여행사 카운터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진=뉴스1지난 3월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 내 여행사 카운터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진=뉴스1
이에 따라 연말부터 여행업계 인력들의 고용한파가 들이닥칠 것이란 우려가 높아진다. 정부 고용유지지원금마저 11월이 지나면 제한되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하늘길이 열려 여행수요가 회복하고 업황이 되살아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업종 특성 상 다른 고정비 중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

다만 여행업 종사자들이 일자리를 잃는 만큼, 중견 여행사들의 줄도산 사태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다. 사업 고정비가 크지 않은 만큼, 인력을 최소화하고 라이선스를 유지한 채 산업이 활력을 되찾을 때까지 버티면 되기 때문이다. 사실상 영업중단을 결정하고 동면에 들어간 자유투어와 여행박사도 이 같은 선택지를 골랐단 분석이다.

현재 여행업계는 최소한의 영업이라도 가능하도록 '트래블 버블' 등 방역 모범국 간 여행교류 재개를 촉구하고 있다. 한국여행업협회(KATA)는 이날 성명을 통해 "9개월째 매출이 전무하고 유·무급 휴업과 휴직, 인력감축 등 온갖 방법으로 생존을 모색해 왔지만 더 이상 버티기 어려워 업계 10만 종사자들이 벼랑 끝에 서 있다"며 "해외 입출국자에 대한 14일 자가격리 조치 완화 방안을 만들어 주길 정부에 요청한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