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험 결과, 이 약물들 가운데 어떤 것도 실질적으로 사망률에 영향을 주거나 인공호흡기 사용 필요성을 줄여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들 약물은 환자들의 병원 입원 기간에도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 다만 이 논문은 아직 동료들의 검토를 거치지 않았다. 과학 저널에 게재되지도 않았다.
길리어드는 성명을 내고 "이번 시험결과는 다른 연구들에서 나온 (효능을 입증하는) 강력한 증거들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이어 "시험이 일관성이 없는 듯하다"며 "다수의 무작위적이고 통제된 실험과 달리 엄격한 검토를 거치지 않은 이번 시험 결과에 우려를 표한다"고 말했다.
길리어드 외에도 지난 5월엔 미국 국립보건원(NIH)이 "렘데시비르가 코로나19 환자의 회복기간을 31%쯤 단축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후 미 식품의약국(FDA)와 유럽연합(EU)이 렘데시비르를 조건부 사용 승인했다.

캘리포니아대 샌프란시스코 캠퍼스의 전염병 전문가 피터 친홍 박사는 뉴욕타임스(NYT)에 "모두 다른 건강 관리 시스템을 갖춘 각자의 나라에서 시행된 이번 실험 같은 거대한 실험은 효과를 분석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치료엔 약물뿐만 아니라 너무나 많은 것들이 필요하다"며 "약물은 치료 방법의 일부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길리어드 역시 "WHO의 연구는 다양한 약물의 조합이 광범위한 환경에서 평가된 것"이라며 "이번 연구에서 결정적 결과가 도출됐다고 확신할 수 없다"고 밝혔다.
'렘데시비르'는 길리어드가 당초 에볼라 바이러스 치료제로 개발한 약물이다. 코로나19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면서 중증 환자를 중심으로 치료제로 사용돼왔다.
한국에서도 지난 7월부터 약 600여명의 환자가 투여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