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옥수수와 소맥도 마찬가지다. 옥수수 12월물 가격은 4.03달러, 소맥 12월물 가격은 6.19달러다. 둘다 52주 신고가 수준이다. 이번달 들어서만 5% 넘게 상승했다.
USDA(미국 농무부)는 주요 농산물 생산량 전망치를 일제히 낮췄다. 대두 생산량은 기존보다 1% 줄어든 42억7000만부셸, 옥수수 역시 1% 줄어든 147억부셸로 낮췄다.
늘어나는 수요도 가격 상승에 한몫 했다. 김광래 삼성선물 연구원은 "돼지열병 이후 중국 정부가 대대적인 돈육 농가 살리기 프로젝트에 돌입하면서 사료 목적의 옥수수 수요가 증가했다"며 "중국 밀가루 가격 역시 상승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치솟는 농산물 가격에 관견 금융상품도 높은 수익률을 기록 중이다. 15일 기준 KODEX 3대농산물선물(H) (10,610원 ▲90 +0.86%)의 최근 3개월 수익률은 15.48%다. TIGER 농산물선물Enhanced(H) (6,975원 ▲25 +0.36%)는 14.11%, KODEX 콩선물(H) (14,885원 ▲125 +0.85%)는 19.37%의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KODEX 3대농산물선물(H)는 'S&P GSCI Grains Select Excess Return' 지수를 추종하는 ETF로 8월말 기준 CBOT에서 거래되는 옥수수 12월물(32.52%), 소맥 12월물(28.97%), 대두 11월물(20.48%), KODEX 콩선물(H)(9.89%) 등으로 구성됐다.
그러나 농산물 관련 투자를 결정하는데 있어 유의를 요한다. 우선 실물 관련 자산 고유의 위험이 있다. 실물 관련 자산은 주식이나 채권과 달리 실물 관련 자산 고유의 경제 환경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작황과 정치적 이슈 등이다.
환율 변동의 위험도 감안해야 한다. 달러로 결제되는 상품인만큼 실제 자산의 가격 변동과 별개로 환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선물 투자에서 오는 롤오버 비용도 있다. 선물시장에서 원월물 가격이 최근월물보다 가격이 높으면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