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 교수 연구팀은 국가에서 54억원의 사업비를 지원받아 세계 최초 다중층 약물방출 생분해성 스텐트 개발 및 식약처 허가를 위한 임상연구를 2025년까지 5년간 진행할 예정이다. 총 사업비는 64억원이다.
권 교수는 이번 사업의 1단계 주관기관 총괄책임자로 대동물시험 및 연구 개발을 지휘한다. 손 박사팀은 다중층 약물방출 생분해성 섬유를 개발하며, 정 박사팀은 다중층 약물방출 생분해성 섬유 스텐트의 약물 방출 제어 및 생체기능성 적용 효능을 연구한다. 엠아이텍은 2단계 주관기관으로 생분해성 섬유 스텐트의 개발 및 임상시험을 담당하게 되며, 임상시험은 대한췌장담도학회 소속 10여개 대학병원에서 수행하게 된다.
권 교수는 “기존 플라스틱 스텐트는 내경이 작아 일찍 막히고 금속 스텐트는 확장력이 우수해 장기간 개통이 가능하지만 제거가 불가능해 시술로 제거해야 한다"며 "이 단점들을 극복한 약물방출 생분해성 스텐트는 체내에서 분해되고, 치료 약물을 국소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어 가장 이상적인 스텐트"라고 설명했다. 즉 추가 시술이 불필요할 뿐 아니라 합병증 예방으로 의료비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홍식 대한췌장담도학회 이사장(고려대 안암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은 "다중층 약물방출 생분해성 스텐트는 소화기계 스텐트의 패러다임을 바꿀 매우 중요한 연구"라며 "세계 스텐트 시장에서 한국 기술의 우월성을 다시 한번 입증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진형 엠아이텍 대표는 “이번 연구를 계기로 향후 대한췌장담도학회와 지속적인 협력 및 임상시험으로 생분해성 스텐트의 연구 개발 범위를 넓혀갈 것"이라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전 세계에 공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