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와 기아차의 주가상승이 가팔랐던 이유는 코로나19(COVID19) 초기국면에 입은 타격을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했기 때문이란 지적이다.
그러나 정작 자동차 부품업체들의 주가상승은 예상보다 크게 이뤄지지 못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자동차 부품주 전반으로는 주가 상승률(연저점 대비 연고점)이 82%에 불과했다. 현대차의 180%와 비교하면 초라한 수치다.

이처럼 완성차와 부품업체들의 주가 흐름이 달랐던 이유는 원가율 차이 때문이라는 것이 증권가의 분석이다.
권순우 SK증권 연구원은 "현대차 등 완성차 업체들도 상반기 출하량이 감소하며 타격을 입었다"며 "그러나 기존 원가가 반영된 재고를 소진해 고정비 부담을 낮출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와 달리 부품사는 생산량 감소의 타격이 그대로 실적부진으로 연결됐다는 것이다.
그러나 하반기부터는 상황이 달라진다. 3분기 부품업체들의 실적이 코로나19 국면에서 서서히 벗어났고 4분기에도 물량증가가 예상된다는 것이다.
권 연구원은 "외부변수만 없다면 출하랑 증가는 2021년까지 이어지고, 신차출시에 따른 신규 부품 수요도 있을 것"이라며 "이는 수익률 개선에 보탬이 되고 중국 등 해외시장의 회복세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 측면에선 저평가 종목들의 상승이 빠르게 이어질 전망이다. 실적이 오히려 좋지 못했던 기업을 찾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상반기 실적둔화 폭이 컸던 만큼,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에는 큰 기저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주목할 업체로는 만도 (47,750원 ▲650 +1.38%), 현대모비스 (223,000원 ▲1,500 +0.68%), 세방전지 (48,900원 ▲550 +1.14%), 성우하이텍 (10,050원 ▲50 +0.50%), 평화정공 (10,570원 ▲200 +1.93%), 서연이화 (19,410원 ▼200 -1.02%), 화승알앤에이 (2,280원 ▲60 +2.70%) 등이 꼽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