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도연구센터가 연구거점 되도록 후속 지원안 시급”

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 2020.09.28 05:00
글자크기

[선도연구센터 30년, 대학연구 미래를 깨우다-⑤]선도연구센터 발전을 위한 전문가 정책 제언

“선도연구센터가 연구거점 되도록 후속 지원안 시급”


선도연구센터의 연구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위 50~60% 내외 센터를 선정, 추가 3년간 연구비의 절반을 지원하거나 기술이전료 배분 시 일정비율을 센터 간접비로 활용할 수 있게 하자는 주장이 나왔다



27일 한국연구재단이 발간한 ‘선도연구센터 30년, 대한민국의 미래를 그리다’ 보고서엔 SRC(이학선도연구센터)·ERC(공학선도연구센터)·MRC(기초의과학분야선도연구센터)·CRC(융합 분야 선도연구센터)·RLRC(지역혁신 선도연구센터)등에서 활동한 협의회장 및 센터장의 정책 제언이 담겼다.

선도연구센터는 대학 내 집단연구를 활성화한다는 목적으로 1990년 도입한 제도로 30년 간 총 358개 센터에 2조 3183억원을 지원했다.



보고서에서 강신일 연세대 교수는 “사업현황을 살펴보면 정부 지원 종료 후에 연구거점 역할을 지속하고 있는 센터의 수가 매우 적다는 점이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강 교수에 따르면 미국 센터의 80% 이상은 지속 가능한 거점센터로 역할을 이어가는 반면, 우리는 연구기간이 종료되면 대부분 사라진다. 그는 “이런 점을 개선하기 위해 후속 과제 선정 시 연구 성과 뿐만 아니라 센터의 자립 역량, 활동실적 등을 함께 평가해 지속 가능한 거점센터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지를 면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후속연구 지원의 경우, 상위 50~60% 내외의 센터를 선정해 추가 3년 동안 연구비의 50%를 지원하거나, 기술이전료 배분 시 일정비율을 센터 간접비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방안 등 다양한 방안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며 “많은 센터들이 사업 종료 후에도 지속 가능한 거점센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유호진 조선대 교수는 개인연구과제에서 연구자의 역량에 따라 ‘신진연구→중견연구→심화연구’로 지원하듯, 향후 선도연구센터도 ‘기반연구→도약연구→심화연구’로 이어지는 단계별 지원 체계를 갖춰 국가 중장기 성장을 견인할 또 하나의 축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재갑 국민대 교수는 “센터 내부 집단연구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연구자 간에 연구 내용을 교류할 기회를 보다 많이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며 “정기적 세미나 개최와 더불어 수시로 모임을 갖는 소규모 회의를 체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어 “센터 외부와의 융합연구도 집단연구의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며 “융합팀을 구성해 외부 산업체와의 협력연구를 수행하거나 산업화할 수 있는 기술을 기획 초기부터 함께 얘기하고 공동으로 개발하면 산업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부연했다.


유주연 포항공대 교수는 “R&D(연구·개발) 환경이 개선되면서 선도연구센터가 담당하는 집단연구 본연의 역할을 보다 명확하게 할 필요가 생겼다”며 “집단연구를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기초연구의 성격과 규모에 대한 보다 심도 깊은 조사 및 정책적 연구를 통해 집단연구 지원 사업의 미래 발전 전략을 수립하자”고 제안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