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은 왜 우리 공무원을 총살했나…커지는 '연평도 미스터리'

머니투데이 최경민 기자 2020.09.24 17:33
글자크기

[the300]北 피격사건 관련 '5문5답'

그래픽=이승현 기자그래픽=이승현 기자


해양수산부 공무원 A씨에 대한 북한의 피격 사건과 관련해 군은 속수무책이었고, 허둥지둥하기까지 했다. A씨의 신원을 파악한 후 6시간 가까이 사실상 손을 놓고 있었다는 점이 확인되며 군에 대한 신뢰도 크게 떨어졌다. 군의 상황 파악 경위, A씨를 방치한 이유, 북한의 잔혹한 수법, A씨의 자진 월북 및 군의 은폐 시도 여부 등에 대한 의문이 끊이지 않는 상황이다.

군은 어떻게 상황을 파악했나
군이 A씨와 관련한 첩보를 최초로 접한 것은 실종 다음날인 지난 22일 오후 3시30분이다. '북측 선박과 대치하고 있던 사람'에 대한 첩보를 입수했다.



이후 오후 4시40분에 이 사람이 A씨임을 특정했다. 그리고 A씨와 북한군이 대치하고 있는 곳의 위치가 황해남도 '등산곶' 앞 해상이라는 사실을 오후 10시11분에 알았다. 당시 등산곶 쪽에서 시신을 불태울 때 나오던 빛이 관측됐었다. 이후 '역추적' 과정에서 북측이 오후 9시40분에 총격을 가했고, 오후 10시부터 시신을 불에 태우기 시작한 것으로 파악했다.

왜 손을 놓고 있었나
최초 A씨가 북한 해역에 생존했을 가능성을 파악한 시점에서, 실제 사망까지는 6시간30분 정도가 걸렸다. 군은 이 사건이 우리 해역이 아닌 북한 해역에서 일어나 대응이 어려웠다고 해명했다.



군은 특히 이번 건과 관련해 "인도주의적 조치가 일어날 줄 알았다"고 설명했다. "북한이 그런 만행을 저지를 것이라고, 그렇게까지 나갈 것이라고 예상 못했다"는 말을 덧붙였다.

즉각조치를 못한 또 다른 이유로 '첩보 자산 보호'를 들었다. 군 관계자는 "과거 전사를 보면 피해를 감수하고도 첩보 자산을 보호한 사례가 있다"고 밝혔다.

북은 왜 잔혹하게 죽였나
북한군은 A씨를 총으로 사살한 후, 기름을 붓고, 시신을 태우는 잔혹한 행위를 했다. A씨를 죽인 북한군이 방독면을 썼던 점, 시신을 불에 태운 점 등을 고려했을 때 코로나19(COVID-19)의 유입을 막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군 관계자도 "코로나19 유입을 막기 위해 무단으로 접근하는 인원에 대해 '무조건 사격하라'는 반인륜적 행위가 이뤄지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남북관계를 완전히 무시한 조치라는 평가다. 최근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이후 깨진 남북 간 우호관계가 이번 비극으로 연결됐다. A씨를 해상에서 6시간 동안 살려둔 것을 미뤄볼 때 정상적인 경계 메뉴얼은 아니다. 북한 군인들도 망설였다는 의미다. 하지만 '상부의 지시'에 의해 A씨는 사실상의 총살에 처해졌다.

자진 월북이 맞나
A씨의 친형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리고 "월북이라는 단어와 근거가 어디서 나왔는지, 왜 콕 집어 특정하는지 의문"이라고 군을 비판했다.

국방부는 A씨가 △신발을 두고 어업관리선에서 이탈한 점 △구명조끼를 착용한 점 △소형 부유물을 탔었던 점 △직접 월북 의사를 표명한 점을 들어 월북 시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군은 A씨의 월북 의사 표명과 관련해 자세한 설명을 하지 않으면서도 "북측이 월북 진술을 들은 정황을 입수했다"고 말했다. A씨가 표류를 한 뒤 북측에서 살기 위해 월북 의사을 밝혔을 가능성에 대해서는 "그럴 가능성도 있다"라면서도 "자진 월북을 시도했을 것이라 본다"라고 일축했다.

군이 은폐를 시도했나
'은폐 시도설'의 근원은 해당 사실을 공표하는 과정에서 군이 우왕좌왕했기 때문이다. 23일 오후 1시30분에 A씨의 실종 사실을 공표한 군은 "A씨가 북한 해역에서 발견된 정황이 있다"라고만 밝혔다. A씨의 생사 여부, 월북 혹은 사고 여부 등에 대해서는 입을 닫았다.

그런데 그날 늦은밤 언론을 통해 "A씨가 월북 시도 중에 북한으로부터 피격, 사망했다"는 보도가 나오기 시작했다. 국방부가 사실관계를 공표하기에 앞서, 여당과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말이 새어나간 게 아니냐는 말들이 오갔다.

이번 건을 '월북 과정에서 북한군에게 사살된 사건' 수준으로 몰아가는 것 아니냐는 '언론 플레이설'까지 대두됐다. 국방부는 이같은 설을 부인하고 있지만, 군에 대한 신뢰도가 크게 떨어지는 계기가 된 것은 분명하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