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작년 근로자 1인당 노동비용 534만원 썼다

머니투데이 세종=박경담 기자 2020.09.23 12:00
글자크기
기업, 작년 근로자 1인당 노동비용 534만원 썼다


지난해 기업이 임금, 퇴직연금, 복지 등 노동자 1명에 쓴 월평균 노동비용이 전년보다 2.9% 늘었다. 상용근로자 300인 미만 중소기업의 노동비용은 300인 이상 대기업의 68.2% 수준으로 집계됐다. 금융·보험업 종사자와 경비원 간 복지 비용은 열배 가량 차이 났다.

고용노동부가 21일 발표한 '2019 회계연도 기업체노동비용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상용근로자 1인당 월평균 노동비용은 534만1000원으로 전년 대비 2.8%(14만6000원) 늘었다. 상용근로자 10인 이상 기업 3500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노동비용은 직접비용, 간접비용으로 나뉜다. 직접비용은 정액 임금, 초과급여, 상여금, 성과급 등이다. 간접비용은 퇴직금, 국민연금, 건강·고용보험, 주거·식사·교통·교육 등 복지비, 채용·교육비 등이다.

직접비용은 425만2000원으로 전년보다 2.5% 증가했다. 정액 임금 및 초과급여가 4.1% 늘어난 반면 상여금 및 성과급은 4.2% 감소했다.



간접비용은 109만원으로 전년 대비 3.9% 증가했다. 간접비용 가운데 국민연금·공적보험 등 법정노동비용은 6.3% 올랐다. 특시 건강보험료가 8.5% 뛰었다. 건강보험 및 장기요양보험료율 상승 폭이 컸기 때문이다.

식사비, 교통통신비, 자녀학비조보비 등 법정외 복지비용은 22만4000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2.1% 늘었다. 채용관련 비용, 퇴직급여 비용은 각각 5.7%, 3.1% 증가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 기업 노동비용이 전년보다 3.5% 늘어난 442만9000원으로 나타났다. 300인 이상 기업 노동비용은 649만8000원으로 전년 대비 2.9% 증가했다. 300인 미만 기업 노동비용은 300인 이상 기업의 68.2%로 격차는 전년과 비교해 0.4%포인트 축소됐다.


산업별 노동비용은 임금 수준이 높은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이 920만2000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금융 및 보험업(917만2000원), 제조업(604만5000원) 순이었다.

직원에 대한 복지가 가장 탄탄한 산업은 금융 및 보험업이었다. 금융 및 보험업 기업은 매달 복지비용으로 1인당 45만8000원을 지출했다. 가장 복지가 뒤처지는 산업은 월 평균 4만7000원을 지급하는 사업시설 관리·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이었다. 이 산업엔 경비원 등이 포함된 저임금 일자리가 많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