쌓여가는 고독…"극단적 선택 늘 수 있다"

머니투데이 세종=박경담 기자 2020.09.22 12:00
글자크기
(서울=뉴스1) 송원영 기자 =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자살예방협회(IASP)가 정한 '세계 자살 예방의 날'인 10일 서울 한강대교에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이 설치한 SOS 생명의 전화가 설치돼 있다. 세계 자살 예방의 날은 생명의 소중함과 자살문제의 심각성을 널리 알리고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해 제정한 날이다. 2020.9.10/뉴스1(서울=뉴스1) 송원영 기자 =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자살예방협회(IASP)가 정한 '세계 자살 예방의 날'인 10일 서울 한강대교에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이 설치한 SOS 생명의 전화가 설치돼 있다. 세계 자살 예방의 날은 생명의 소중함과 자살문제의 심각성을 널리 알리고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해 제정한 날이다. 2020.9.10/뉴스1


정부가 코로나19(COVID-19) 장기화로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사람이 늘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22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잠정 자살사망자 수는 6278명으로 전년 대비 7.4% 감소했다.

하지만 앞으로가 문제다.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고립, 경제적 어려움이 심화될수록 자살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과거 감염병 시기를 돌이켜보더라도 불황과 겹쳤을 때 스스로 세상과 등진 사람이 많았다.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이 발병한 2003년 4월부터 7월까지 자살사망자는 3995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1.4%로 늘었다. 또 신종플루가 한국을 덮친 2009년 5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자살사망자는 전년 대비 7.2% 증가한 1만3642명으로 조사됐다.

반면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가 있었던 2015년 5~12월 자살사망자는 전년과 비교해 0.4% 늘었다. 사스, 신종플루 때는 각각 카드대란, 금융위기 영향이 이어지면서 자살이 증가한 것으로 해석된다.



복지부는 또 지난해 10~11월에 20대 여성의 자살이 급증했다고 추정했다. 고용·취업 문제, 사회적 고립 등 주요인이 무엇인지 특정하긴 어려우나 지난해 스스로 목숨을 끊은 가수 설리의 사망이 일부 영향을 준 것으로 봤다.

복지부는 자살을 줄이기 위해 코로나19 우울에 대한 심리지원 대책 등 대상·단계별 지원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코로나19 피해 계층을 돕기 위해 긴급 지원, 고용안정, 긴급 돌봄 등의 정책을 실시 중이라고 덧붙였다.

염민섭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자살위험 증가가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각종 긴급 민생·경제 지원과 함께 적극적 심리방역 및 자살예방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