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혁신기업, 4000개 발굴…R&D에 3500억원 투자

머니투데이 세종=안재용 기자 2020.09.22 11:00
글자크기

에너지기술평가원, 특례상장 전문기관 추가…신재생에너지 생태계펀드 조성

(서울=뉴스1) =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서울=뉴스1) =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정부가 2025년까지 태양광과 풍력, 전기차배터리 등 에너지혁신기업 4000개를 발굴하고 R&D(연구개발) 예산 3500억원을 투입해 지원한다. 정부와 공기업, 연구기관간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신재생에너지 생태계펀드를 조성해 투자유치를 도울 계획이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2일 오후 2시 서울 을지로 쏘울에너지에서 에너지신산업 벤처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에너지혁신기업 지원전략'을 발표했다.



성 장관은 "에너지혁신기업의 성장 생태계가 조성돼야 그린뉴딜의 성공적 이행도 가능하다"며 "에너지산업에서 새로운 산업생태계가 자리잡을 수 있도록 유관기관 간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에너지혁신기업이란 기술력과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신재생에너지, 에너지효율, 전력 수요관리 등 에너지신산업에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견·중소기업을 말한다. 산업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2029개사가 에너지혁신기업으로 분류됐다.



2025년까지 에너지혁신기업 4000개 발굴
제주시 한경면 두모리와 금등리 앞바다에 위치한 탐라해상풍력발전단지.  /사진 제공=탐라해상풍력발전 / 사진제공=탐라해상풍력발전제주시 한경면 두모리와 금등리 앞바다에 위치한 탐라해상풍력발전단지. /사진 제공=탐라해상풍력발전 / 사진제공=탐라해상풍력발전
정부는 2025년까지 에너지혁신기업 4000개를 발굴해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태양광 O&M(통합운영관리) △분산전원 가상발전소(VPP) △풍력 지원서비스 △전기차배터리 관련서비스 △에너지신산업 소·부·장 △건물 에너지효율 관리 등 6대 핵심 유망분야를 선정하고 R&D 예산 35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정부는 태양광 O&M 산업 육성을 위해 표준화된 효율지표를 개발하고, 대형발전소에 예측·분석 의무와 효율목표 부과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겠단 계획이다. O&M 전문화를 위해 표준매뉴얼을 제정하고 관련 R&D예산도 올해 88억원에서 2025년 300억원으로 확대한다.


분산전원 가상발전소 육성을 위해 '플러스 DR'을 도입하고 전력중개 모집자원 기준을 개선한다. 플러스 DR이란 재생에너지 최대발전량 시간대에 전력수요를 늘리는 것을 말한다. 또 정부는 재생에너지 발전략 예측제도를 도입하고 VPP 운영·관리·보완을 위한 R&D예산을 올해 187억원에서 400억원으로 늘린다.

정부는 풍력단지설계와 사업타당성 검토 단계에 에너지혁신기업 참여를 늘려 틈새시장 중심 생태계 조성을 추진한다. 풍력산업 R&D 예산도 500억원으로 확대한다.

이밖에도 정부는 사용후 배터리 성능평가·분류체계를 마련하고 전기차 부품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한다. 배터리 데이터 보안체계와 재사용배터리 응용제품 개발 관련 R&D 예산도 올해 95억원에서 2025년 200억원으로 확대한다.

에너지신산업 소재·부품·장비 기업간 공동연구를 활성화하고, R&D가 구매·조달로 연결되는 수요연계형 R&D를 확대한다. 태양광, 풍력, 이차전지, 스마트기기 등 4대 분야에서 소부장 협력모델을 발굴한다. 건물에너지 관리시스템(BEMS) 표준을 마련하고 관련 R&D예산을 225억원에서 450억원으로 두배 늘린다.

신재생에너지 생태계펀드 조성…에기평 기술특례상장 전문기관 추가
(서울=뉴스1) 이승배 기자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오른쪽)과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3일 오후 서울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한국판 뉴딜 금융지원 방안’을 발표를 위해 착석하고 있다.  정부는 한국판 뉴딜의 추진동력 마련을 위해 앞으로 5년간 20조원 규모의 모자 펀드 조성, 이와 함께 뉴딜 기업의 특별 대출·보증을 위한 정책금융기관의 직접 투자, 민간금융회사의 투자 여건 개선 등을 통해 170조원+α 규모의 금융 지원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2020.9.3/뉴스1(서울=뉴스1) 이승배 기자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오른쪽)과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3일 오후 서울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한국판 뉴딜 금융지원 방안’을 발표를 위해 착석하고 있다. 정부는 한국판 뉴딜의 추진동력 마련을 위해 앞으로 5년간 20조원 규모의 모자 펀드 조성, 이와 함께 뉴딜 기업의 특별 대출·보증을 위한 정책금융기관의 직접 투자, 민간금융회사의 투자 여건 개선 등을 통해 170조원+α 규모의 금융 지원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2020.9.3/뉴스1
또 정부는 한국형 뉴딜펀드 자펀드로 신재생에너지 생태계 펀드 조성을 추진하고 에너지혁신기업에 대한 투자를 유도한다. 우수기업 투자설명회(IR) 등을 통해 대기업, 벤처케피탈 투자를 활성화하고 에너지혁신기업 상장을 촉진하기 위해 기술특례 상장 전문기관에 에너지기술평가원을 추가한다. 에너지신산업 기술과 기업가치 평가모델도 개발한다.

수요기업과 인증기관이 참여하는 혁신조달 연계형 R&D와 공기업 공동참여형 R&D를 신설하고 에너지혁신기업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에너지산업 기술검증사업을 도입하고 사업화 R&D와 금융, 마케팅을 패키지 지원한다.

정부는 에너지혁신기업 지원 정책수립 기반마련을 위해 실태조사를 매년 실시하고 에너지산업 분류체계도 바꾼다.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를 지역거점으로 육성하는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산학연과 연계한 종합 실증연구단지와 소부장 특화단지를 구축한다. 공기업, 연구기관 등이 보유한 실증인프라 등을 활용하는 협업체계도 마련한다.

성 장관은 "탈탄소화, 분산화, 디지털화로 대표되는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신기술·아이디어로 무장한 에너지혁신기업들이 혁신을 가져올 것"이라며 "정부도 적극 뒷받침 하겠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