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페이 QR코드, 전자출입명부 된다

머니투데이 김지훈 기자 2020.09.16 13:21
글자크기

18일부터 적용…서울 시내 26만대 설치돼 있어

(서울=뉴스1) 유승관 기자 = 31일 서울시내 한 전통시장에서 주민이 제로페이로 결제를 하고 있다.  정부는 소득 하위 70% 이하 1400만가구에 가구원수 별로 40만~100만원의 재난지원금을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1인 가구 40만원, 2인 가구 60만원, 3인 가구 80만원, 4인이상 가구 100만원이다. 구윤철 기획재정부 2차관은 31일 "저희들이 대략 봐서 (4인가족 기준으로) 중위소득 150%가 710만원(712만원)이 넘기 때문에 (소득하위 70% 이하는) 700만원 선이 넘어가지 않을까 봤을 때 이 정도 소득 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0.3.31/뉴스1(서울=뉴스1) 유승관 기자 = 31일 서울시내 한 전통시장에서 주민이 제로페이로 결제를 하고 있다. 정부는 소득 하위 70% 이하 1400만가구에 가구원수 별로 40만~100만원의 재난지원금을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1인 가구 40만원, 2인 가구 60만원, 3인 가구 80만원, 4인이상 가구 100만원이다. 구윤철 기획재정부 2차관은 31일 "저희들이 대략 봐서 (4인가족 기준으로) 중위소득 150%가 710만원(712만원)이 넘기 때문에 (소득하위 70% 이하는) 700만원 선이 넘어가지 않을까 봤을 때 이 정도 소득 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0.3.31/뉴스1


오는 18일부터 서울 시내 26만대가 설치된 제로페이 단말기의 QR코드가 전자출입명부로 활용된다.

한제현 서울시 안전총괄실장은 16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코로나19(COVID-19) 브리핑에서 "현재 전자출입명부로 사용되고 있는 네이버와 카카오톡 등의 QR코드 인증과 함께 제로페이 QR코드도 추가해 전자출입명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사업주가 별도로 출입인증을 위한 단말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매장의 제로페이 QR코드를 스캔하면 자동으로 출입이 인증되는 방식이다. 수집된 개인정보는 확진자 발생시 역학조사에 활용되고 안전하게 관리 후 4주가 지나면 자동으로 폐기된다.



정부는 지난 6월부터 QR코드를 기반으로 한 전자출입명부를 도입했다. 하지만 QR코드 인식을 위한 별도의 단말기 마련과 사용방법 등이 번거로워 많은 사업장은 아직도 수기명부를 쓰고 있다. 또 수기명부는 암호화된 QR코드 방식과는 달리 방문자 정보가 한 장에 기록돼 개인정보 노출 등의 문제점이 제기돼 왔다.

한 실장은 "감염자 수의 급격한 확산세가 꺾인 상황이지만 여전히 감염경로가 불분명한 확진자가 20%대로 유지되고 있어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장기화되고 있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검사 대상자의 이동경로 확인과 신속하고 정확한 검사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이태원 클럽 집단감염 발생시 허위로 작성된 출입자 명부로 인해 역학조사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김홍찬 서울시 제로페이 추진반장은 "서울의 신용카드 가맹점이 56만개다. 현재 제로페이가 설치된 곳은 26만개로 48% 정도 설치돼 있다"며 "고위험·중위험 시설의 경우 시가 적극적으로 홍보해 모두 가입시킬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