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대비 융·복합 연구 농업 새 판 짠다

머니투데이 세종=정혁수 기자 2020.09.08 11:23
글자크기
농촌진흥청 전경_정면 / 사진제공=농촌진흥청 전경_정면농촌진흥청 전경_정면 / 사진제공=농촌진흥청 전경_정면


농촌진흥청, 21년도 예산 1조877억원 편성…올해보다 628억원↑
내년도 농촌진흥청 예산안이 올해보다 628억원 증가한 1조877억원으로 편성됐다. 코로나19, 급격한 기후 환경변화 등에 대비하기 위한 미래대비 융·복합 연구개발과 비대면 기술보급 등이 주 내용이다.

농촌진흥청은 2021년 예산안을 올해 1조249억원보다 6.1% 증가한 1조877억원으로 편성했다고 8일 밝혔다.



사람과 환경 중심의 지속가능한 농업을 구현하기 위해 농업과학기술 개발과 이를 확산시키는 현장 중심의 신규·증액사업이 적극 반영됐다.

과수화상병 등 현장 문제 해결 실용기술 개발·보급(2733억 원, 22.5%↑), 미래 대비 정밀농업 기계화 등 농작업 생산성 제고(922억 원, 49.9%↑), 기후변화 대응과 지역특화농업 연구개발(R&D) 강화(1079억 원, 48.2%↑) 등 주요 연구개발 및 기술보급이 적극 반영됐다.



미래대비 융·복합 연구 농업 새 판 짠다
과수화상병 등 현장문제 해결…수출 확대 등 주력
현장 문제 해결을 위해 과수화상병 종합방제체계 구축, 고위험 식물병해충 관리방안 마련 및 병해충 예찰 방제 강화를 위한 예산 476억원이 반영됐다. 병해충 종합방제체계 구축, 수요자 맞춤형 우량종자 육성·보급 및 신선 농산물 수출 확대 등 현안문제 해결 예산도 811억원 편성됐다.

또 논에 타 작물 재배 및 밭 농업 기계화 등을 통해 밭작물 생산성을 높이고, 안전한 농약 사용 여건 조성 등을 통해 건강한 농산물 생산기술 개발 등에 944억원이 투입된다.


디지털 기반의 정밀농업기술 개발, 스마트팜 융합·원천기술 개발을 위해 스마트팜 다부처 패키지 혁신기술 개발 등에 563억원이 편성됐다. 드론·위성을 활용한 정밀농업 구현 등 첨단기술의 적용 확대, 농생명 분야 초고성능 슈퍼컴퓨팅 활용, 생명공학 및 기능성 소재 실용화 등 바이오 신성장산업 육성에도 1028억원이 배정됐다.

이와 함께 기상재해 선제적 대응, 기후변화 적응 품종과 재배기술 개발, 신 소득 유망 아열대 작물 실증연구 및 지역특화 농업 연구개발(R&D)에도 1075억원이 투입된다. 농림기반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 개발·확산 연구를 신규사업(20억 원)으로 반영하는 등 치유농업기술 개발도 적극 추진된다.

디지털 기반 스마트팜 융합·원천기술 개발
취약계층을 위한 농작업 안전기술 개발과 청년농업인의 기술창업, 농촌체험·관광 활성화 등 농촌융복합산업 활성화를 통해 농업인 소득도 제고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국내·외 농업현안 해결을 지원하는 국제협력사업 추진과 개발도상국, 국제 연구기관과의 맞춤형 농업기술 협력 강화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허태웅 농촌진흥청장은 "향후 국회 예산안 심의 과정에서 적극적인 사업 설명 등을 통해 미반영 사업에 대한 예산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미래대비 융·복합 연구 농업 새 판 짠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