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딜펀드…'관제펀드' 악몽 잊고 소부장펀드처럼 펄펄 날까

머니투데이 김태현 기자 2020.09.04 05:08
글자크기
문재인 정부가 한국형 뉴딜 사업 활성화를 위한 '뉴딜펀드' 조성에 나섰다. 이번 정부 들어 두 번째 정책펀드다. 이번 정부의 '1호 관제펀드'인 '소부장(소재·부품·장비)펀드'가 평균을 훌쩍 웃도는 수익률을 기록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도 뜨겁다.

그러나 운용업계 관계자는들은 뉴딜펀드, 특히 뉴딜 인프라펀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인프라펀드의 구조적 한계 때문이다.



1년 만에 쑥쑥 자라난 소부장펀드…수익률 49.39%
/사진제공=NH아문디자산운용/사진제공=NH아문디자산운용


4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대표 소부장펀드인 'NH아문디필승코리아펀드'(이하 필승코리아펀드)의 최근 수익률(2일 기준)은 49.39%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국내 주식형 펀드 수익률(25.79%)의 2배에 가깝다.

코로나19(COVID-19) 확산으로 국내 증시가 급락했던 3월 이후 수익률 역시 필승코리아펀드가 32.68%로, 국내 주식형 펀드 수익률(20.87%)를 뛰어넘는 성적을 기록했다.



지난 2월 사모재간접으로 출시한 소부장펀드들의 수익률도 준수하다. '골든브릿지레인보우중소성장기업펀드', '한국투자소부장코리아펀드', '신한BNPP소재부품장비산업펀드'의 설정 이후 수익률은 각각 12.87%, 12.61%, 12.60%다.

해당 소부장펀드는 금융투자협회(이하 금투협)이 제안한 펀드다. 소부장에 투자한 사모펀드를 다시 공모펀드로 감싸는 4년 만기 폐쇄형 구조 사모재간접형 공모펀드다.

이들 펀드는 삼성전자(22%), NAVER(4.49%), LG화학(4.08%), SK하이닉스(3.85%) 등 대형 성장주 비중이 높다. 코스닥 종목으로는 에스앤에스텍(4.56%)가 있다. 에스앤에스텍은 반도체 소재인 블랭크 마스크를 생산하는 업체다.


공모 인프라펀드 구조적 한계…"짧은 만기가 걸림돌"
뉴딜펀드…'관제펀드' 악몽 잊고 소부장펀드처럼 펄펄 날까
정부가 발표한 뉴딜 인프라펀드는 민간투자법상의 인프라펀드와 자본시장법상의 SOC(사회기반시설)투자펀드를 대상으로 한다. 리츠(부동산신탁회)도 포함됐다. 국내 인프라펀드는 총 590여종이다. 공모 인프라펀드는 8개, 사모 인프라펀드는 578개다.

정부는 뉴딜 인프라펀드 활성화의 일환으로 세제지원을 제시했다. 투자금액 2억원 한도 내 투자에 대한 배당소득에 대해 저율(9%) 분리과세를 적용한다. 뉴딜 인프라에 일정 비율 이상 투자하는 공모 인프라펀드를 대상으로 한다.

한 운용사 관계자는 "국민 참여를 높이기 위해 공모 인프라펀드로 한정지은 것은 동의하지만, 공모 인프라펀드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우선 공모 인프라펀드를 설정할 때 가장 중요한 만기 문제다. 정부는 뉴딜 인프라펀드를 존속 기간 5~7년으로 짧은 펀드로 만들 계획이다. 그러나 운용사 입장에서는 만기가 짧을수록 인프라펀드 특성상 환매를 보장하기 어렵다.

그는 "인프라펀드 만기는 최소 20~30년으로 일반 부동산펀드와 비교해도 길다"며 "해당 기간 동안 환매를 기다려줄 개인 투자자들은 많지 않다. 상장시켜 유동성을 확보한다고 하더라도 운용사 입장에서 부담스러운 건 매한가지"라고 말했다.

대안으로 매입 확약을 포함한 보증 제도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펀드 설정 후 3~5년 뒤 다른 기관이나 정부가 매입하거나 산업기반신용보증도 활용 가능하다.

또 다른 운용사 관계자는 "세제지원이 있다고 해도 사모와 비교했을 때 공모가 불리한 건 사실"이라며 "공모 인프라펀드에 대한 수익률 제고 방안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판매사가 필요한 공모펀드는 판매수수료가 끼게 된다. 판매사가 필요없는 사모펀드보다 수익률이 깎일 수 밖에 없다. 매번 정보를 공개해야 하기에 운용 비용도 오른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