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교수 77.5% 단체행동 지지 "단결된 모습 보이겠다"

머니투데이 지영호 기자 2020.09.02 17:35
글자크기
(서울=뉴스1) 민경석 기자 = 29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서울대학교병원 소속 전문의가 정부의 공공의대 신설과 의대정원 확대 정책을 규탄하며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2020.8.29/뉴스1(서울=뉴스1) 민경석 기자 = 29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서울대학교병원 소속 전문의가 정부의 공공의대 신설과 의대정원 확대 정책을 규탄하며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2020.8.29/뉴스1


서울대학교병원 교수 4명 중 3명이 의료계 단체행동에 대해 지지한다고 답했다.

서울대학교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2일 서울대학교병원 교수 등을 대상으로 정부의 4대 정책 ‘철회’ 혹은 ‘원점에서 재논의’의 명문화라는 목표를 달성할 때까지 파업을 지속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77.5%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설문 대상자는 서울대학교병원 교수를 비롯해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보라매병원, 강남센터의 겸임교수, 기금교수, 비기금 임상교수, 진료교수, 입원전담전문의 등 1288명이며, 이중 727명이 응답했다.



사태를 조기 종식시키기 위해 서울대학교병원 교수들이 취해야 할 행동으로는 복수응답으로 과반 이상이 '보다 강화된 진료 축소 혹은 진료 중단을 통해 행동의 강도를 높여야 한다'와 '대정부 성명서를 내야 한다'고 답했다고 전했다.

서울대학교병원 교수 비대위가 지향해야 할 우선 가치로는 복수응답으로 '4대 정책 철회를 위한 공동 투쟁'과 '스승으로서 서울대학교병원 구성원 및 의과대학생의 보호', '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로서 환자 피해 최소화', '의사와 환자 신뢰 유지가 가장 중요한 가치'라고 답했다.



서울대병원 교수 비대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광웅 교수는 “교수 일동은 젊은 의사들의 행동을 전적으로 지지하고 추후 강력한 단체 행동으로 나설 자세를 표명했다"며 "사태가 종식될때까지 의견을 모아 단결된 모습으로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