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케이 "'시진핑 방한 합의'는 한미동맹 이간계"

뉴스1 제공 2020.08.26 14:02
글자크기

"中, 국제사회 '포위망' 피하려 한국에 접근"
"文대통령, 2017년 방중 때 '홀대' 기억해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자료사진> © 로이터=뉴스1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자료사진> © 로이터=뉴스1


(서울=뉴스1) 장용석 기자 = 일본 산케이신문이 최근 한중 양국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조기 방한 성사'에 합의한 데 대해 "중국이 한미동맹을 갈라놓기 위한 쐐기를 박은 것"이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극우 성향의 산케이는 '시(習)씨 방한 합의, 문(文)씨는 이간계(離間計)에 넘어가지 말라'는 제목의 26일자 사설을 통해 "미중 양국의 대립이 '냉전시대 미국과 옛 소련 이상'으로 심화된 상황에서 이뤄진 이번 합의는 한국의 동맹국인 미국으로부터 결정적인 불신을 사는 행위"라며 이같이 밝혔다.



한국의 서훈 국가안보실장은 지난달 22일 부산에서 열린 양제츠(楊潔?) 중국 공산당 외교담당 정치국원과의 회담을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상황이 안정되는 대로 시 주석 방한을 성사시킨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에 대해 산케이는 "중국은 코로나19 발생 초기 정보 은폐 의혹과 홍콩 탄압을 위한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 무리한 남중국해 진출 등으로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고 있다"면서 "중국은 자초한 대(對)중국 포위망 형성을 막기 위해 이런 문제에 대한 비판이 적은 한국에 접근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산케이는 특히 "(북한의) 핵·미사일과 인권문제는 뒷전으로 두고 남북화해를 우선시하는 문재인 정권은 북한의 뒷배인 중국에 경도되는 걸 주저하지 않는다"면서 "한국의 대중 무역의존도가 높다는 걸 중국은 잘 알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산케이는 "그러나 문재인 대통령은 중국의 달콤한 말에 넘어가선 안 된다. 기억해야 할 게 하나 있다"며 2017년 중국 국빈방문 당시 '홀대' 논란과 중국 측 경호 관계자에 의한 수행기자 폭행사건을 거론했다.

산케이는 중국이 당시 문 대통령을 냉대함으로써 '3불 정책'(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를 한국에 추가 배치하지 않고, 한국이 미국의 미사일방어체제(MD)에 참여하지 않으며, 한미일 군사동맹도 결성하지 않겠다는 것) 실행을 강요했다며 "거기엔 예절을 갖춘 대등한 관계는 존재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산케이는 "한국의 친북 및 중국 경도는 미국과의 관계를 약화시키고 동북아시아 안정을 해칠 뿐"이라며 "한국이 지금의 자유와 번영을 구가하고 싶다면 한미동맹 및 일본과의 연대 중시로 전환해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산케이는 그동안 자국 정부가 시 주석의 국빈 방일을 추진해온 데 대해서도 "한국의 동향에 흔들리지 말고 확실히 백지화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