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진강 홍수…“수자원공사의 물욕심이 부른 참사”

뉴스1 제공 2020.08.11 15:54
글자크기

피해 규모 역대급…수자원공사 섬진강댐 관리 비판 여론 커져
각계 책임 추궁, 항의 방문 계속 “수공, 보상과 복구 나서야”

섬진강댐 방류 모습. 섬진강댐은 집중호우가 지속된 지난 8일 초당 1868톤의 물을 긴급 방류했다. 주민들은 이날 방류로 섬진강 수계 중하류 지역들이 큰 수해를 입었다.고 주장하고 있다.2020.8.11 /© 뉴스1섬진강댐 방류 모습. 섬진강댐은 집중호우가 지속된 지난 8일 초당 1868톤의 물을 긴급 방류했다. 주민들은 이날 방류로 섬진강 수계 중하류 지역들이 큰 수해를 입었다.고 주장하고 있다.2020.8.11 /© 뉴스1


(전북=뉴스1) 유승훈 기자 = 무리한 ‘물 욕심’으로 역대급 수해를 유발시킨 수자원공사의 댐 관리에 대한 비난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피해 지역과 주민, 시민단체, 정치권 등은 수자원공사가 관리하는 섬진강댐 측의 갑작스럽고 무리한 방류로 돌이킬 수 없는 막대한 수해가 발생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근본적 대책 마련은 물론 피해 보상과 복구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반면 수공 측은 관련 매뉴얼에 따른 조치였다는 원론적 답변을 반복하며 이렇다 할 입장 표명을 하고 있지 않는 상태다.

이번 사태의 초점은 섬진강댐 측의 ‘물 욕심’에 맞춰진다. 충분히 예상된 집중호우에도 댐 측이 선제적 방류를 실시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담수를 최대치까지 유지하다 예상 이상의 많은 비가 내렸고 긴급하게 계획홍수수위를 지키기 위한 차원에서 일방적 방류를 했다는 주장이다.

섬진강댐은 집중호우가 계속되던 지난 8일 오전 19개 수문을 모두 열어 초당 1868톤의 물을 급히 방류했다.

직전 2주 사이의 방류량은 100~600톤(초당) 수준이었다. 예상보다 많은 비가 내리면서 계획홍수수위 조절을 위한 긴급 조치였다는 것이 수공 섬진강지사의 설명이다.


지난 9일 전날 내린 집중호우에 무너진 전북 남원시 금곡교 상부의 제방 모습. 2020.8.9 /뉴스1 © News1 유경석 기자지난 9일 전날 내린 집중호우에 무너진 전북 남원시 금곡교 상부의 제방 모습. 2020.8.9 /뉴스1 © News1 유경석 기자
하지만 이날 대량 방류로 남원, 순창, 임실, 곡성, 구례, 하동 등 섬진강 수계 중·하류 지역은 ‘물바다’가 되는 피해를 입게 됐다.

피해 지역 주민과 단체, 정치권 등은 수공 측의 이번 무리한 방류에 대해 철저한 조사가 뒤따라야 한다고 지적한다.

섬진강 인접 11개 지자체와 6개 특별기관으로 구성된 ‘섬진강환경행정협의회’는 13일 수자원공사와 환경부를 항의 방문할 예정이다. 방문에는 남원·순창·임실·곡성·구례·하동 등 피해 지역 시장·군수가 모두 동행한다.

협의회는 이날 방문에서 수공 측의 책임 있는 사과와 보상을 요구하고 댐 관리 등 ‘물 일원화 정책’에 대한 명확한 시스템 마련도 요청할 계획이다. 이와는 별도로 국무총리실에 항의 서한도 전달할 방침이다.

한편 11일 최영일 전북도의원(순창)은 섬진강댐관리단 앞에서 “이번 홍수는 수공의 물욕심이 부른 참사”라며 물 관리 당국의 홍수조절 실패 책임을 묻는 1인 시위를 진행했다.

전북도의회 최영일 의원(순창)은 11일 한국수자원공사 섬진강댐 관리단 앞에서 방류조절 실패 규탄 1인 시위를 진행했다.2020.8.11 / 뉴스1전북도의회 최영일 의원(순창)은 11일 한국수자원공사 섬진강댐 관리단 앞에서 방류조절 실패 규탄 1인 시위를 진행했다.2020.8.11 / 뉴스1
최 의원은 “유례없는 긴 장마에 섬진강댐 저수율과 방류량을 좀 더 탄력적으로 운영했어야 함에도 기관 이기주의 때문에 인근 지역의 피해가 컸다”며 “관리단은 홍수 예방보다 물이용에 초점을 맞춘 댐 관리를 했고 이것이 이번 피해를 키웠다”고 주장했다.

진보당 전북도당은 논평을 통해 “이번 수해는 수공의 댐 수위 조절 실패의 원인이 매우 크다”면서 “수공의 홍수 조절 및 방류 시스템에 대한 국정조사를 실시해 철저한 원인 규명과 근본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번 사태를 두고 일각에서는 지난 2018년 환경부로 일원화된 ‘물 관리 정책’이 겉돌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일원화 전 수계 관리 및 홍수(수량) 조절 등을 총괄하던 국토부의 기능은 축소되고 수질과 물이용 중심의 환경부 기능에 무게 중심이 쏠려 있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