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 인프라펀드 분리과세…금융투자 세부담 '뚝'

머니투데이 김태현 기자 2020.07.23 05:42
글자크기
맥쿼리인프라는 인천대교의 64.05% 지분을 가지고 있다. /사진=맥쿼리인프라맥쿼리인프라는 인천대교의 64.05% 지분을 가지고 있다. /사진=맥쿼리인프라


정부가 공모 인프라펀드 세제지원 카드를 꺼내들었다. 한국판 뉴딜 지원을 위해서다. 15년 동안 잠든 공모 인프라펀드를 깨울 수 있을까.



22일 기획재정부는 한국판 뉴딜 지원을 위한 공모 인프라펀드 세제지원을 발표했다. 공모 인프라펀드 투자자에 대한 배당소득 분리과세 특례를 신설하는 방안이다.

공모 인프라펀드에 투자하는 투자자는 배당소득의 14% 분리과세한다. 종합소득에서도 배제한다. 금융소득이 연 5000만원을 넘으면 다른 소득과 더해 종합소득세율을 과세하는데 이에 합산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그만큼 세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번 세제지원이 공모 인프라펀드 활성화로 이어질지 관심이 쏠린다. 국내 공모 인프라펀드는 2006년 맥쿼리인프라가 사모에서 공모로 전환한 이후 전무하다.

업계 관계자는 "인프라펀드의 큰 손인 기관투자자들은 사모 방식을 선호한다"며 "아무래도 투자 기간이 길다보니 불확실성이 큰 공모 방식은 외면 받아왔다"고 설명했다.

인프라펀드는 자산 특성상 환매금지형으로 설정된다. 이 때문에 공모 형식을 빌 경우 상장하도록 돼있다. 유동성이 제한되는 만큼 펀드를 상장해 환매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하라는 것. 이런 안전장치에도 활성화가 되지 못한 건 개인들의 무관심 때문이다.


한 운용사 관계사는 "지금이야 리츠(REITs·부동산투자신탁)으로 간접투자에 대한 관심이 커졌지만, 2010년대만 하더라도 이런 인식이 부족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잇단 리츠 상장으로 간접투자에 대한 개인 투자자들의 이해도가 높아졌다. 이런 상황에서 이번 세제지원 조치가 공모 인프라펀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변동성이 커지면서 배당 중심의 펀드가 외면받고 있지만, 개인들의 투자 경험이 쌓이면 포트폴리오 다양화 수요도 커진다. 공모 인프라펀드 수요도 그만큼 커진다.

김형윤 KB자산운용 인프라본부장은 "인프라펀드의 가장 큰 장점은 정부가 카운터파트너라는 점"이라며 "오랜 기간 안정적인 수익률을 올릴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라고 설명했다. 인프라펀드는 연 5~6%의 수익률을 꾸준히 낼 수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