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달 만에 다시 만난 이재용·정의선…재계가 주목한 2가지 포인트

머니투데이 안정준 기자, 이정혁 기자 2020.07.21 14:19
글자크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가운데)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왼쪽)이 지난1월2일 서울시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국내 각계대표 및 특별초청 인사들과의 신년 합동 인사회에 참석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뉴시스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가운데)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왼쪽)이 지난1월2일 서울시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국내 각계대표 및 특별초청 인사들과의 신년 합동 인사회에 참석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뉴시스


재계 1, 2위 총수가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 발표 직후 현대차그룹 연구개발(R&D)의 산실 남양연구소에서 만났다. 유례없는 두 총수의 두번째 만남은 의미가 남다르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의 미래 모빌리티를 향한 기술 협력 의지가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을 타고 속도전에 돌입했다는 평가다.

재계는 우선 두번째 회동의 시점에 주목한다. 정 수석부회장은 지난 5월 이 부회장을 시작으로 구광모 LG그룹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잇따라 만났다. 모두 전기차 배터리를 중심으로 미래모빌리티 사업을 추진하는 기업의 총수였다.



정 부회장은 이달 14일 청와대가 주최한 한국판 뉴딜 국민보고대회에서 배터리 3사와 "서로 잘 협력해 세계 시장 경쟁에서 앞서나가겠다"고 선언했고 정부는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를 중심으로 한 그린뉴딜 핵심과제를 발표했다.

재계 한 관계자는 "이 부회장과 정 수석부회장의 첫 회동 후 무르익은 재계 모빌리티 협력 분위기가 정책 탄력을 받아 두 번째 회동으로 연결된 셈"이라고 말했다.



두번째 회동의 장소가 현대차그룹 남양연구소라는 점도 의미가 깊다. 1995년 경기도 화성시에 들어선 남양연구소는 현대차그룹 기술의 산실로 통한다. 347만m² 규모로 연구인력만 1만4000여명이 근무하는 국내 최대 자동차 연구개발 시설이다.

자동차업계 한 관계자는 "남양연구소는 현대차그룹 신차 개발은 물론, 미래차 핵심 기술 방향성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곳"이라고 설명했다. 재계에서 이 곳을 방문한 총수는 이 부회장이 처음이다.

회사 기술의 심장부를 공개할 만큼 기술 협력 의지를 확고히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지난 5월 첫 회동이 삼성그룹의 차세대 배터리 연구개발 요충지인 삼성SDI 천안사업장에서 진행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완성차와 전자업계를 대표하는 양사지만 그동안 뚜렷한 협력관계는 없었다. 배터리 영역에서도 마찬가였지다. 현대차그룹은 그동안 기아차에 주로 SK이노베이션 배터리를, 현대차에는 주로 LG화학 배터리를 사용했다.

하지만 양사가 힘을 합칠 영역은 무궁무진하다. 우선 미래 모빌리티 사업 영역에서 전장을 중심으로 시너지를 낼 수 있다. 삼성은 하만의 전장사업이나 자동차 디스플레이 등에서 전략적 파트너가 절실한 상황이다. 현대차그룹입장에서도 자율주행차에 필요한 차량용 반도체나 5G(5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 기술 부문에서 아군이 필요하다.

배터리도 마찬가지다. 현대차그룹은 배터리 공급망을 다각화해 리스크를 줄이고 수급 안정성을 끌어올리려 하는데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에 삼성SDI까지 가세한다면 차세대 배터리 확보 루트를 보다 확실히 갖출 수 있다.

특히 중장기적 관점에서 배터리 미래기술에서 양사가 낼 시너지의 파괴력이 막강할 것으로 보인다.

전고체 배터리가 대표적이다. 삼성은 한번 충전으로도 800㎞를 주행하고 1000회 이상 재충전할 수 있는 전고체 배터리 기술을 개발 중이다.

육상 모빌리티뿐 아니라 UAM(도심항공모빌리티)에도 승부수를 던진 현대차그룹 입장에서도 가볍고 효율이 높은 데다 안정성까지 끌어올린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가 절실하다.

이날 회동에서 이 부회장은 차세대 친환경차와 UAM(도심항공모빌리티), 로보틱스 등 현대차그룹의 미래 신성장 영역 제품과 기술에 대한 설명을 듣고 정 수석부회장과 심도 있는 논의를 나눈 것으로 전해졌다.

재계 한 관계자는 "그동안 가능성 차원에 머물렀던 양사 시너지가 조금씩 구체화되는 단계에 접어든 것"이라며 "그린뉴딜 정책과 맞물려 추후 속도를 더할 것"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