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운항 선박이 스마트항만에…코로나 이후 바다모습은

머니투데이 세종=김훈남 기자 2020.07.16 11:00
글자크기
자율운항 선박이 스마트항만에…코로나 이후 바다모습은


"자율운항 선박이 오가는 블록체인 기반 항만, 이를 통해 들어온 수산물을 비대면으로 유통·소비하는 시대"

해양수산부가 그린 포스트 코로나19(COVID-19) 시대 우리 바다의 모습이다. 올해 초 전 세계로 확산한 코로나19 피해지원을 넘어 코로나19 이후 시대를 선제 대비하겠단 전략이다.

해양수산부는 16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해양수산분야 코로나19 이후 대응 전략'을 수립·발표했다. 코로나19 이후 핵심과제 추진방향과 한국판 뉴딜 등 범부처 계획에 더해 해수부 자체 발굴한 과제를 포함, 6대 추진전략 18대 과제로 구성했다.



추진전략별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해양수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추진한다. 기관별로 나뉘어 있는 해양수산 공공데이터 770종을 모아 AI(인공지능) 기반 분석이 가능하도록 한 해양수산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한다. 코로나19 같은 악재에도 항만운영 중단 사태까지 이르지 않도록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해운물류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목표다.

정부의 한국판 뉴딜 과제에 따라 4선석 규모 스마트항만 테스트베드를 조성해 운영하고 항만의 스마트화·자동화와 연계해 자율운항선박 핵심기술 개발 및 실증작업을 추진한다.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한 스마트해운물류 시스템을 구축하고 스마트 양식 상용화 기반 마련 과제도 설정했다.



정부 그린뉴딜 과제에 맞춰선 친환경 선박전환 등 친환경 선박 시장 창출을 꾀한다. 해수부 소속 관공선 109척을 시작으로 민간선박 1008척의 친환경선박 전환을 적극 지원한다. 2025년까지 갯벌 4.5㎢를 복원하는 등 해양생태계 보존작업도 추진할 방침이다.

한국판 뉴딜과 별개로 비대면 산업 육성에도 동력을 더한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비대면 소비가 늘어나며 '수산물=오프라인 소비' 공식이 깨진 데 따른 전략이다. 앞서 해수부는 온라인 쇼핑몰 판매 드라이브스루 등 수산물 판촉행사 등으로 비대면 방식 유통시장 가능성을 쟀다.

해수부는 온라인 거래를 선도할 스타기업과 강소어업경영체를 육성하고 수산물 주요산지와 물류허브, 소비자를 연결할 방침이다. 또 'K-FISH' 온라인 수출통합 플랫폼을 구축해 해외 온라인 채널을 통한 비대면 마케팅 지원도 확대한다. 비대면 판매와 1인 가구, 홈코노미 소비에 적합한 수산식품 개발 및 스마트 공유가공 단지 구축도 추진한다.


코로나19 이후 글로벌밸류체인(GVC) 변화에 대응해선 항만배후단지를 활용한 우리 기업의 유턴지원, HMM 등 국적 해운선사 지원을 통한 글로벌 물류네트워크 확대 사업을 추진한다. 이에 맞춰 부산항과 광양항 등 허브 항만을 유석하고 LNG벙커링·수리조선소 등 항만서비스를 확충할 방침이다.

이밖에 권역별 해양바이오 클러스터 구축을 포함한 해양바이오 산업화 기반 조성 및 웰니스(건강) 해양관광 활성화 등 해양에서의 신사업을 육성하고 선원과 어촌 주민 등 취약계층에 대한 안전망을 구축할 방침이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해양수산 분야 코로나19 이후 대응전략을 통해, 해양수산업이 코로나19 위기를 기회로 바꾸고, 선도형 경제로 도약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함께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