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부·장 연구’ 국가연구실에 서울대 연구실 등 13곳 지정

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 2020.07.02 15:00
글자크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서울대 소재·부품 신뢰성 연구실, 국가핵융합연구소 플라즈마 소재·부품 연구실 등 13곳이 ‘국가연구실’로 선정돼 중소·중견기업 소재·부품·장비 연구를 지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2일 비메모리 반도체, 디스플레이 관련 소재 전문기업 네패스에서 제5회 소재·부품·장비 기술특별위원회를 열어 ‘국가연구인프라(3N) 2단계 지정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8월 과기정통부가 발표한 ‘소재·부품·장비 연구개발 투자전략 및 혁신대책’의 후속 조처다. 이 대책에는 소재·부품·장비 연구를 민·관이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정부출연연구기관 및 대학 연구실 및 시설·장비를 국가연구실, 연구시설로 지정하는 내용이 담겼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2단계 국가연구실은 소재·부품 신뢰성 연구실(서울대), 차세대 배터리 소재 연구실(전남대), 기능성 나노구조재료 연구실(창원대), 고성능 고분자 전자재료 연구실(한국과학기술원), 나노소재개발 연구실(한양대), 플라즈마 소재·부품 연구실(국가핵융합연구소), 알루미늄 연구실(재료연구소), 철강재료 연구실(재료연구소), 고순도 희소금속 연구실(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연료전지 연구실(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차전지 기능성 소재 연구실(한국전기연구원), 인공지능반도체 연구실(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보·전자 폴리머 연구실(한국화학연구원) 등 13개 연구실이 선정됐다.



이밖에 2단계 국가연구시설로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공용장비센터 등 5곳, 2단계 지정 대상 협의체는 KAIST 소재·부품·장비 협의체 등 15곳이 선정됐다.

김성수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이번 2단계 지정으로 1단계 지정된 12개 국가연구실 및 6개 국가연구시설과 함께 우리나라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립을 위해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상식 민간위원장은 “이번 국가연구인프라 2단계 지정으로 소재·부품·장비분야의 연구 역량을 결집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며 “앞으로 산업현장과 잘 연계해 소재·부품·장비분야 자립역량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인프라로 자리잡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