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보안법' 결전 中-미국, 희토류로 다시 맞붙나

머니투데이 임소연 기자 2020.06.30 10:49
글자크기
/사진=AFP/사진=AFP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심화하면서 중국이 '희토류'를 무기화할 수 있다는 미국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미·중은 '코로나19' 책임론과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 등을 놓고 충돌을 빚고 있다.

희토류는 반도체, 스마트폰, LED(발광다이오드) 전기·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첨단제품 생산 등 4차산업 전반에 필수적인 원료다.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희토류를 가공하는 국가로 전 세계 희토류 생산의 81%를 담당하고 있다. 미국은 중국의 희토류에 상당 부분을 의존하고 있다.

2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 상원 에너지자원위원회는 24일 광물 공급망과 국가안보를 주제로 청문회를 열었다.



청문회에서 조 맨친 민주당 의원은 희토류를 1970년대 아랍국가들이 서방으로의 수출을 막았던 '원유'에 빗댔다. 1970년대 원유처럼 중국의 희토류가 미국을 위협할 수 있는 전략자원이라는 의미다.

청문회에서 중국이 대미(對美) 희토류 수출을 차단하면 어떤 일이 일어나냐는 질의가 나오자 원자재 가격을 추적하는 벤치마크 미네랄 인텔리전스 설립자 사이먼 무어스는 "지금 우리가 논의하는 중요한 광물의 일부라도 중국이 장기간 차단하면 미국 경제에는 재앙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무어스는 "중국의 위협은 날이 갈수록 분명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호라이즌 어드바이저리는 최근 보고서에서 "중국이 희토류를 미국과의 무역 분쟁을 포함, 서양을 향해 사용할 수 있는 지렛대로 보고 있다"면서 "희토류에 대한 중국의 독점적인 위치는 글로벌 시스템을 위협한다"고 꼬집었다. 관세 등 무역전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과 중국이 홍콩보안법, 홍콩시위 관련 내정간섭 논란 등으로 다시 희토류 전쟁을 벌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사진=AFP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사진=AFP
실제 중국은 2010년 일본과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를 놓고 외교적 마찰을 빚자 희토류 수출을 통제했다. 당시 일본은 백기를 들었다.

희토류는 미·중 무역분쟁이 격화하기 시작하면서부터 중국의 보복 카드로 거론됐다. 작년 11월 중국은 희토류 생산 할당량을 10% 늘렸다. 채굴 할당량은 2018년 12만 톤에서 2019년 13만2000톤으로 늘었다. 미국, 호주 등에서의 희토류 생산을 견제해 미국을 압박하려는 의도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중국이 보조금을 통해 희토류 산업을 육성하고 이를 '지정학적 무기'로 사용하려 한다는 경계가 높아졌다. 특히 경제적 이득을 위한 무기로 쓰기 보다 희토류 산업 전반을 지배함으로써 압도적 영향력을 발휘하려는 것이란 분석이 주를 이룬다.

미국은 이런 중국에 끌려가지 않으려 분투 중이다. 최근 미 국방부는 자국 내 희토류 산업을 육성하고 중국산 희토류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현재 추진 중인 2개 희토류 프로젝트에 보조금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덴마크 자치령 그린란드를 인수하려는 움직임도 보였다. 그린란드엔 막대한 양의 희토류가 매장돼있다.

일각에선 중국이 희토류를 대응 카드로 쓰기 어렵다는 분석도 있다. 대체 물질들이 개발됐고, 중국 외에서도 희토류 공급이 이뤄지고 있어서다. 일본은 중국의 '희토류' 위협에 굴복한 2011년 이후 공급 다변화를 통해 대중국 의존도를 90%에서 49%로 낮췄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