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교수팀은 조선대를 주관기관으로 삼성서울병원과 성균관대, (주)가온아이티, 사이버테크(주)가 참여하는 컨소시엄 연구를 진행한다.
이번 연구는 의료진에게 보다 객관적인 방법을 제공해 정신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하는 진단기술로 활용이 가능하다.
조선대 IT연구소 정재효 교수 연구팀은 '의료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존을 위한 분산 환경에서의 연합 AI 컴퓨팅 모델 개발' 연구에 참여한다.
주관기관인 성균관대 산학협력단과 공동연구기관인 조선대 산학협력단, 삼성서울병원, ㈜유티소프트가 참여한다.
정 교수팀은 5억4000만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의료데이터의 노드 간 이동 없이 분석/학습 가능한 엣지 컴퓨팅 기반의 연합 AI 플랫폼을 개발한다. 분산 환경에서 Multi bio-signals 측정이 가능한 웨어러블 시스템을 활용해 실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용량의 의료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엣지 컴퓨팅 기술을 통해 여러 종류의 인공지능 분야 산업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조선대학교 자연과학·공공보건안전대학 이건호 의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산업융합형 AI 연구개발 사업'에서 '노화 질환 예측과 진단을 위한 유전체 기반 AI 시스템 개발'을 주제로 선정됐다.
주관기관인 서울대 산학협력단과 공동연구기관인 조선대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원, (재)광주테크노파크, (주)디엔에이링크가 참여한다.
조선대 광주치매코호트연구단을 이끌고 있는 이건호 교수는 이 연구로 서울대 등과 노화질환 관련 다중 의료정보 데이터 베이스와 노화질환 장기추적 유전체 코호트를 구축한다.
이들 연구는 지난 4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57개월 간 진행한다. 3곳 연구팀은 최근 협약식을 통해 참여기관 간 협력체계를 구축했다.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