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장관은 "해외 방산 전시회도 못 하고 수출 논의가 중단되는 등 어려운 환경"이라며 "계획된 사업을 정상적으로 추진하기 힘들기 때문에 금융지원 등 정부 차원에서 도울 수 있는 부분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방위사업청(방사청)은 '방산혁신클러스터' 시범사업 첫 지역으로 경남·창원을 선정했다. 방사청은 방산 부품의 선제적 개발 및 국산화 확대, 대·중소기업 상생 협력 강화 등을 위해 사업을 추진 중이다.
국방부는 방산업체의 안정적 경영여건 보장을 위해 납기조정과 지체상금 면제 등을 추진중이라고 밝혔다. 지체상금은 계약 상대자가 계약상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을 때 징수하는 배상금을 말한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27개 업체가 참여했다. 기아자동차, 대우조선해양, 대한항공, 두산인프라코어, 한화, 한화디펜스, 한화시스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현대중공업, 퍼스텍, 풍산, 한국항공우주산업, 한국화이바, 한진중공업, LIG넥스원, STX엔진, S&T모티브, S&T중공업, 넵코어스, 다산기공, 데크카본, 삼양컴텍, 삼양화학공업, 아이쓰리시스템, 이오시스템, 휴니드테크놀러지스 등이다.
이들은 건의사항 30여건을 발표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상생 협력을 위한 국내개발 환경 조성, 무기체계 양산 때 국내 중소협력업체 개발품목 우선 적용 등 의견이 나왔다.
국방부 관계자는 "무기체계 제안서 평가에서 중소기업에 가점을 부여하는 등 우대 정책을 시행 중"이라며 "국산화 부품 개발 때 중소·벤처기업을 먼저 고려해 선정하는 등 부품 국산화 정책을 강화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방산업체 CEO 간담회는 방위산업 발전 정책 수립과 방산업체 애로사항 해소를 위해 2018년 12월 처음 개최됐다. 이번이 네번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