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자는 3층에"…실내위치도 파악하는 똑똑한 동선앱 나온다

머니투데이 조성훈 기자 2020.06.11 05:58
글자크기
KAIST 스마트폰 블랙박스 기반 역학조사시스템 개요/사진=KAISTKAIST 스마트폰 블랙박스 기반 역학조사시스템 개요/사진=KAIST


코로나 19 확진자 동선파악을 두고 사생활침해 논란이 제기되는 가운데 스마폰의 각종 센서정보를 활용해 사생활 침해를 피해 정확하게 역학조사와 격리자 관리 등이 가능한 시스템이 개발됐다.

KAIST는 전산학부 지능형서비스통합연구실 한동수 교수 연구팀이 `코로나19 감염병 확산방지시스템(앱&웹)'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스마트폰에 내장된 GPS와 와이파이·블루투스·기압계·관성센서 등을 통해 수집된 신호를 보관해 활용하며 신호정보는 2주 뒤 자동 폐기한다. 스마트폰끼리 주고받는 블루투스 정보를 활용하는 애플, 구글의 추적시스템과 유사하지만 활용하는 센서의 종류가 더 많아 정확도가 높고 활용폭도 넓다. 특히 단순 위치정보 뿐 아니라 기압계와 관성센서로 건물 내, 층별 단위까지 확진자와 접촉자의 접촉여부를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기압, 관성센서로 확진자와 접촉자 위치, 건물내 층 단위까지 확인
시스템은 크게 △일반인을 위한 `바이러스 노출 자가진단 시스템' △감염병 관리기관을 위한 `확진자 역학조사 시스템' △`격리자 관리 시스템' 등 3가지로 구분된다.



`바이러스 노출 자가진단 시스템'은 확진자의 동선과 개인의 스마트폰 블랙박스에 기록된 센서정보를 통해 확인된 동선의 중첩 여부를 체크하는 것. 현행 방식은 당국이 확진자 동선정보가 문자 메시지를 전달하면 개개인이 직접 접촉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인 반면 이 시스템은 사용자가 수시로 해당 앱의 버튼을 눌러 바이러스 노출 여부를 쉽고 빠르게 체크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확진자 역학조사 시스템'은 코로나19 감염병 확진을 받은 환자의 스마트폰 블랙박스에 기록된 신호를 지도상에 표시를 해주는 방식으로 역학 조사관이 확진자의 이동 동선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시스템에 지난 10여년간 개발해 온 실내·외 통합 위치 인식시스템 KAILOS(KAIST Locating System)도 적용했다. 이에 따라 실내지도와 신호지도가 준비된 건물에서는 건물 내부에서도 확진자의 이동 동선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KAIST개발 스마트폰 역학조사시스템 개요 /사진=KAISTKAIST개발 스마트폰 역학조사시스템 개요 /사진=KAIST

스마트폰 블랙박스는 격리자 관리에도 활용된다. 격리자의 스마트폰 블랙박스가 수집한 신호를 주기적으로 `격리자 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방식이다. 전송받은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격리자의 격리공간 이탈 여부를 확인한다. GPS 신호뿐 아니라 무선랜 신호를 사용해 실외뿐 아니라 실내에서의 확진자 격리공간 이탈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더 정확하게 격리자를 관리할 수 있다는 게 강점이라고 한 교수팀은 설명했다.

신호정보만 사용해 사생활침해 논란 최소화…강제설치 어려운게 걸림돌
KAIST는 이 시스템이 사생활 침해 논란을 최소화하면서 신속한 역학조사와 격리자 관리 등 코로나19 상황에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기존 역학조사 시스템은 신용카드 이용 내역 등 광범위한 개인정보에 접근해 확진자 동선을 공개하는 과정에서 사생활 노출로 인한 인권침해 우려가 꾸준히 제기돼왔다. 반면 개인 스마트폰 블랙박스에 저장된 기록은 일체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며 특히 확진자의 동선을 공개하는 경우에도 문자로 표현되는 장소 정보가 아닌 신호 정보를 공개해 확진자의 사생활 보호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한 교수는 "현재 약 30여 종의 스마트폰이 사용되고 있는데 스마트폰마다 탑재된 센서의 종류가 매우 다양해 이 시스템을 다양한 스마트폰에 이식하고 테스트하는 작업을 진행중ˮ이라면서 "작업을 마치는 대로 곧 시스템을 출시할 계획ˮ이라고 밝혔다.

문제는 이 시스템 역시 애플·구글의 코로나 추적 시스템 처럼 개인에게 강제설치가 어렵다는 점이다. 현재 정부가 사용하는 역학조사시스템은 감염병예방법에 따라 정부가 이동통신사의 휴대폰 기지국 위치정보나 신용카드 결제정보, CCTV 등을 사용한다. 반면 이 시스템은 개인이 모두 앱을 설치하지 않으면 감염자와 접촉자 추적이 부분적으로만 이뤄져 완성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이 시스템 활용을 위해서는 제도적 뒷받침은 물론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한다.

한 교수는 "결국 앱설치 및 활용을 강제하는 것이 어렵지만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되면 충분히 검토 가능한 카드라고 본다"면서 "개인정보가 아닌 스마트폰간 신호정보이고 센서도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연하게 가동할 수 있어 회사나 집단별로 구성원들의 동의하에 사용하면 감염자 발생시 전체 폐쇄 같은 비효율을 막는 기능도 하지 않을 까 싶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