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느냐 마느냐'…유료방송 M&A 수 싸움 시작됐다

머니투데이 오상헌 기자 2020.06.10 06:01
글자크기
'사느냐 마느냐'…유료방송 M&A 수 싸움 시작됐다


C:MoneyToday정시딜라이브 로고(컬러).jpg1216760813 / 사진제공=딜라이브C:MoneyToday정시딜라이브 로고(컬러).jpg1216760813 / 사진제공=딜라이브
현대HCN 로고 / 사진제공=현대HCN현대HCN 로고 / 사진제공=현대HCN
유료방송 시장 재편이 급류를 탈 전망이다. 딜라이브와 현대HCN에 이어 케이블방송 업계 4위인 CMB가 매각 계획을 공식화했다. 케이블 방송 1, 2위 기업인 LG헬로비전(옛 CJ헬로)와 티브로드가 이미 LG유플러스와 SK텔레콤에 팔린데 이어 3, 4, 5위권 케이블 방송사가 모두 유료방송 시장 매물로 나온 셈이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의 치열한 눈치경쟁이 예상된다.





업계 4위 CMB마저 매물로…케이블 시대 저물다
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인 CMB는 9일 “매각 작업을 본격화할 계획”이라며 “주간사 선정 등 세부 일정을 조율해 빠른 시일 안에 M&A(인수합병)을 성사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CMB는 1965년 국내 최초 유료 방송사로 설립된 중앙음악방송을 모태로 55년간 사업을 해 왔다. 서울 영등포·동대문, 대전광역시·세종·충남, 광주광역시·전남, 대구광역시 동구·수성구 등 광역도시 중심 11개 방송권역에서 150만 방송가입자와 20만 인터넷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은 4.7%로 케이블 업계 4위다.

CMB가 매각을 공식화하면서 케이블방송 업계 5위권내 기업이 모두 시장 매물로 나오게 됐다. 1위 사업자인 LG헬로비전(옛 CJ헬로비전)은 LG유플러스에, 2위 티브로드는 SK브로드밴드에 이미 매각된 상황. 3위 사업자인 딜라이브와 5위인 현대HCN도 매각 절차를 밟고 있다.



넷플릭스가 촉발한 미디어 시장 개편이 가속화되면서 경쟁력을 잃게 된 케이블 방송사들이 본격적인 출구 전략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CBM 대주주측이 회사 매각 결정을 굳히는데 지난달 현대HCN의 매각 계획 발표가 결정적이었다는 후문이다.

새로운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가 유료방송 시장을 위협하고 미디어간 대규모 콘텐츠 확보 경쟁이 불붙으면서 ‘규모의 경제’를 창출하지 못하면 생존할 수 없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유료방송 중심 축도 케이블에서 IPTV(인터넷TV)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자금력의 싸움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기준 통신 3사의 IPTV(인터넷TV)의 유료방송 가입자 시장점유율은 50.1%. 처음으로 시장 절반을 넘어섰다. 반면 같은 기간 케이블 방송 점유율은 40.35%로 줄었다. 통신 3사 계열 유료방송 시장 점유율을 합치면 무려 80%를 상회한다. 독자적인 케이블 방송 사업은 더 이상 경쟁력을 유지하기 어렵다. ‘몸값’이 더 떨어지기 전에 팔아 치우겠다는 게 케이블 방송 업계의 절박감이다.

주판알 튕기는 통신업계…공격적인 M&A냐, 수성이냐
시장 매물이 늘면서 매수 주체인 통신사들의 셈법은 더욱 복잡해지는 양상이다. 매물이 늘어났다는 건 그만큼 통신사들은 가격협상에서 우위를 설 수 있다는 얘기다. 그렇다고 통신사들이 공격적인 투자에 나서긴 어려운 상황이다. 코로나19 여파도 있지만 5G(5세대 이동통신) 전국 투자가 한창 진행되고 있으며, 내년 주파수 재할당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수전을 외면하기도 어렵다. 현재 유료방송 시장 점유율은 KT(31.3%), LG텔레콤(24.7%), SK텔레콤(24%) 순이지만 매물 3곳 중 1곳 만으로도 순위가 바뀔 수 있을 정도로 격차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해 6월 말 기준 딜라이브와 CMB, 현대HCN의 점유율은 각각 6.1%(201만명), 4.7%(156만명), 4.1%(134만명)다.

이같은 상황에서 가장 다급한 쪽은 지난해 합산규제 이슈에 가로막혀 케이블방송 인수전에 끼지 못한 KT다. 어떤 형태로든 후발 주자들과의 격차를 더 벌려야 한다. 순위경쟁에서 LG텔레콤에 밀린 SK텔레콤도 2위 입지를 되찾고 싶어한다.

이런 경쟁 구도에서 다른 상대가 쉽게 매물을 취하도록 놔둘 순 없다. 케이블 방송사들의 몸값이 쉽게 떨어지진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그래서 나온다. 물론 다같은 조건도 아니다. 케이블 방송사마다 서비스 권역이 다르고 가입자 속성도, 내부 재무상황도 다르다. 몰리는 곳만 몰릴 수 있다는 얘기다. 유료방송 시장 재편의 향배는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된 셈이다. 매도자와 매수자간 가격 셈법이 얽히고 설키면서 치열한 수 싸움이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통신 3사가 꼭 인수하겠다는 생각보단 경쟁사가 인수하는 걸 두고 볼 수 없다는 생각에서 예비입찰에 참여한 측면이 있다”며 “다른 케이블방송 매각 입찰도 비슷한 상황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