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차가워진 한·일 관계…극일 수혜주 '후끈'

머니투데이 김사무엘 기자 2020.06.05 14:26
글자크기
지난 3월 21일 오후 서울 유니클로 광화문 D타워점 앞에서 평화나비 네트워크와 대학생 겨레하나 주최로 규탄 기자회견이 진행되고 있다. / 사진=이동훈 기자 photoguy@지난 3월 21일 오후 서울 유니클로 광화문 D타워점 앞에서 평화나비 네트워크와 대학생 겨레하나 주최로 규탄 기자회견이 진행되고 있다. / 사진=이동훈 기자 photoguy@


한국과 일본과의 관계에 긴장감이 감돌면서 일본제품 불매운동과 일본 수출규제 관련 수혜주들이 다시 관심을 받고 있다. 한일 관계 이슈가 지속될 경우 당분간 주가 상승이 이어질 수 있지만 단기 테마에 그칠 수 있어 투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5일 오전 11시30분 기준 렘테크놀러지 주가는 전일 대비 960원(13.26%) 오른 8200원에 거래되고 있다. 램테크놀러지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공정용 화학 재료를 제조하는 업체로 일본의 수출 규제에 따른 반도체 핵심소재 국산화의 수혜주로 꼽힌다. 이밖에 소재 국산화 수혜주로 꼽히는 일지테크 (4,700원 ▼90 -1.88%), 삼륭물산 (3,775원 ▼25 -0.66%), 켐트로스 (7,640원 ▼130 -1.67%), 동진쎄미켐 (46,600원 ▲2,050 +4.60%) 등이 이날 5% 이상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전날에는 일제 불매운동 수혜주들의 주가가 급등했다. 의류업체 신성통상 (1,868원 ▼18 -0.95%)은 전날 상한가를 기록했고, 문구업체 모나미 (2,945원 ▼15 -0.51%) 주가는 14% 가량 올랐다. 지오지아, 탑텐(TOP10) 등 의류브랜드를 보유한 신성통상은 일본 대표 의류 브랜드인 유니클로의 대체재로 꼽히고 모나미는 일제 볼펜 불매의 수혜업체로 거론된다.



최근 한일 관계가 다시 악화하면서 관련 종목들도 주목받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달초 대구지법 포항지원은 일본제철(옛 신일철주금) 주식회사에 자산 압류결정 서류를 공시송달로 전달했다. 일제 강점기 당시 강제징용 피해자들이 전범기업을 대상으로 낸 손해배상 청구를 이행하기 위해서다.

일본 정부는 한국 법원의 이같은 결정에 유감을 표시하며 일본 기업에 대한 자산 강제매각이 현실화할 경우 이에 대한 대항조치를 취하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이미 일본 정부는 2018년 한국 대법원의 일제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대한 보복으로 지난해 반도체 핵심소재 등의 한국 수출을 제한하는 조치를 단행했다.

업계에서는 일본의 추가 보복조치로 일본 내 한국기업의 자산압류나 수입관세 인상, 한국인 입국 비자 발급 제한 등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아소 다로 일본 부총리는 지난해 말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국과의 무역을 재검토하거나 금융제재를 단행하는 등 방안이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한일 관계가 다시 악화 국면에 진입하면서 국내 증시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지만 증권가에서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일본의 보복 조치가 처음 시작된 지난해 7월 코스피 지수는 2주 동안 약 10% 급락하는 충격을 경험했다. 하지만 이후 증시는 빠르게 회복했고 소재 국산화를 위한 정부 지원과 소기의 성과들이 나오면서 한국 경제도 일본의 경제 보복에 대한 내성을 충분히 키웠다는 분석이다.

박주선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7월 국내 주식시장은 일본 수출 규제에 민감하게 반응했던 경험이 있지만 이제는 한일 갈등이 주식시장 방향성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라고 판단한다"며 "한일 갈등이 주식시장과 수출 차질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학습효과가 관련 여파를 축소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본의 경제 보복과 관련한 테마주에도 선별적 투자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일제 불매운동 수혜주와 국산화 관련 종목들은 지난해 한일 관계 악화가 최고조에 달했을 때 반짝 상승했다 이후 대부분 하락한 경험이 있다.

박 연구원은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기술 국산화는 한일 갈등과 별개로 꾸준히 이어질 것"이라며 "정부는 소·부·장(소재, 부품, 장비) 분야 기업에 대해 R&D(연구·개발) 정부 출연, 금융과 투자 세제 지원, 공공인프라 구축으로 지원하고 있어 소부장 기업은 정책 효과를 향후에도 기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