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불리기 쉽지 않다면...새는 돈부터 막아라

머니투데이 여지윤 기자 2020.05.23 07:30
글자크기
/사진= 게티이미지/사진= 게티이미지


'재테크'하면 '돈을 모으거나 불리는 것'을 먼저 생각하기 십상이다. 돈을 활용해 수익을 만드는 일보다 중요한 게 돈을 관리하는 것이다. 돈 관리를 시작하면 본인의 재무 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계부 작성은 일상에서 의미 없는 지출을 줄여 여유 자금을 만들고, 계획적인 소비 습관을 형성해 삶의 만족감을 더하는 데 도움을 준다.

억만장자 록펠러, 부의 비법은
석유 재벌 존 록펠러는 순자산이 현존하는 미국 최고 부자, 빌 게이츠의 3배로 알려져 있다. 그는 10대 시절부터 ‘회계장부 A’라 이름 붙인 가계부를 작성했다. 자녀들과 용돈 기입장을 주제로 주기적인 대화를 나눴고 자녀들에게 가계부를 성실히 쓰라는 가르침을 아끼지 않았다.



록펠러 2세 또한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자녀들에게 일주일 단위로 용돈을 주고 용돈 기입장을 작성하도록 했다. 단순히 장부에 숫자를 나열하는 것을 넘어 올바른 사용처에 썼는지 평가하는 시간을 중시했다. 록펠러 가문이 7대를 넘어 부를 유지해온 원동력은 돈에 대한 큰 그림을 갖는 것. 가계부 작성 습관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떻게 써야 할까
가장 일반적인 것이 종이 가계부다. 본인에게 맞는 양식을 선택해 수기로 쓰면서 지출에 따른 심리적 자극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최근에는 앱이나 온라인 포털 사이트가 제공하는 가계부 작성 서비스도 많이 등장하고 있다. 금융 정보 자동 연동(카드·은행사 연결할 경우)에 따라 지출 및 수입을 요일별 통계(표·그래프)로 정리해 준다.

/사진= 뱅크샐러드 홈페이지 앱 리뷰 캡쳐/사진= 뱅크샐러드 홈페이지 앱 리뷰 캡쳐

자동 연동 가계부를 지원하는 대표적 자산관리 앱으로 '뱅크샐러드'가 있다. 카드결제·입출금 내역을 불러와 수입과 지출로 분류해 등록한다. 지출 카테고리는 물론 카드 대금 조회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다. 리스트형·달력형을 선택해 보면 된다.

어떤 작성 방식을 선택하든 일주일 혹은 한 달에 한 번 정도 가계부를 들여다보고 평가해야 한다. 본인의 소비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우선순위를 매겨보는 과정에서 돈의 흐름을 읽는 시각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처음부터 완벽하게 하려 하면 작심삼일이 되기 쉽다. 가계부 초보일수록 의욕이 앞서 하루 지출·수입을 다 기록하려 한다. 꼭 필요한 항목을 중심으로 1일 한 줄이면 충분하다. 가계부 쓰는 일에 익숙해질 때까지 큰 지출 항목만 정해 정리하는 것이 좋다.

지출이라고 모두 같은 것이 아니다. 지출 항목은 유형별로 구분하면 새는 돈 찾기가 쉽다. 예를 들어 '꼭 필요한 소비(공과금·세금 등 고정지출)', '불필요한 소비(문화생활비·외식비 등 변동지출)', '투자' 정도로 나누면 된다. 낭비가 큰 부분의 지출을 파악해 절약 항목으로 정할 수 있다.

줄이기로 결심한 항목은 지출할 때마다 기록하자. 내역을 구체적으로 적어야 한다. 단순히 '식비'가 아닌 '점심비', '커피비' 등으로 말이다.

가계부 작성, 이렇게 하면 재밌는 습관 될 수 있다
가계부 작성은 '나와의 약속'이다. 기록하는 일이 부담으로 다가오는 순간, 숙제처럼 밀려 지루한 업무가 되고 만다. 꾸준히 작성하기 위해선 목표와 보상이 명확해야 한다.

/사진= 목표 설정 사례/사진= 목표 설정 사례
목표는 작은 것에서 큰 것으로, 단계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실천 가능한 목표를 저축 기간·목표금액·월별 저축금액 등에 따라 구체적으로 정해야 달성률이 높아진다. 단, 장기적 목표보다는 중간중간 보람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단기적 보상플랜이 효율적이다.

/사진= 보상 설정 사례/사진= 보상 설정 사례
목표를 달성하면 스스로에게 보상을 주자. 마치 커피 쿠폰에 도장 10개를 받으면 아메리카노 한 잔을 보상받듯이 가계부 작성을 재밌는 '놀이'로 인식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평소 본인이 좋아하는 제품이나 활동을 보상 내용으로 정해 가계부 작성의 동기를 자극하면 꾸준한 실천에 도움이 된다. 매월 가계부 결산 시 목표 달성률을 점검하고 잘한 점· 개선할 점을 파악해 새로운 게임을 설계해나갈 수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