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패션업계 고용지원 고려" vs 업계 "금융지원도 필요"

머니투데이 오정은 기자 2020.05.20 15:47
글자크기

산업부, 섬유패션업계 만나 애로사항 청취하고 '포스트 코로나' 대응방안 모색

성윤모 산업자원통상부 장관/사진=산업자원통상부 제공 성윤모 산업자원통상부 장관/사진=산업자원통상부 제공


정부가 전세계적인 코로나19(COVID-19)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섬유패션산업을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한다. 글로벌 소비·판매·제조 공급망이 촘촘하게 연결된 섬유·패션산업은 코로나19 사태로 공급망이 붕괴되는 직격탄을 맞았다.



다만 섬유·패션 수출기업을 위한 금융지원 등 자금 지원이 제기되지 않아, 추가적인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관측된다. 일부 섬유·패션업체는 무역금융 금리 인하, 상환 연기 등을 추가로 요청한 상황이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0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3차 산업·기업 위기대응반 회의 및 제5차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 대화'에서 섬유패션산업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에 대해 "범정부적으로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섬유산업연합회는 전일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 신청서를 냈다.



특별고용지원업종은 고용 사정이 급격히 악화할 우려가 있는 업종을 정부가 지정해 고용유지 지원금 등 사업주와 근로자에게 각종 지원을 해주는 제도다. 이날 산업부와 섬유패션업계는 화섬업계 구조 고도화와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을 논의했는데 예정된 시간을 훌쩍 넘기면서 토론이 계속됐다.

섬유패션업계는 코로나19 확산으로 미국·유럽의 빅 바이어(콜스, 제이씨페니, 갭, 자라 등) 기업의 영업이 중단되고 중국·베트남을 비롯해 방글라데시, 아이티 등에 위치한 공장이 문을 닫으며 글로벌 패션·섬유 생산망이 붕괴되는 초유의 사태에 직면했다. 국내 브랜드 업체도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1·2분기 오프라인 가두점 매출이 급감하며 코로나19 확산의 직격탄을 맞았다.

국내 섬유패션 수출은 지난 4월 전년비 35% 줄었다. 북미·유럽의 패션업체 80% 이상이 매장을 폐쇄하면서 주문 취소와 신규 주문 급감, 대금 결제 지연 등이 연쇄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현재 미국에서 제이크루가 파산을 신청했고 메이시스(Macy's), 갭(Gap) 등 글로벌 패션 빅 바이어도 파산 신청 직전에 있다. 이들이 파산할 경우 국내 의류 벤더 들은 대금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미국 백화점 콜스는 국내 벤더사의 주문을 대거 취소하고 대금도 지불하지 않았다. 이런 여파에 지난달 국내 중소 벤더사 신성통상은 수출사업부 직원 55명을 해고해 사회적 논란을 빚기도 했다.

문국현 한솔섬유 대표이사는 "(주문을 취소한) 콜스는 언젠가 주문을 재개하고 대급을 지급할 가능성이 있지만 (챕터11 파산보호신청을 한)제이씨페니 등이 향후에 더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1분기 실적을 발표한 상장 패션·섬유업체 55개 중 80% 이상이 매출이 감소했고 절반 이상은 적자를 나타냈다.

정부는 패션의류 소비를 늘리기 위해 다음 달 26일부터 7월10일까지 섬유센터에서 열리는 '대한민국 동행 세일' 기간에 '코리아 패션 마켓'을 열고 50여개 패션 기업이 참여한다. 또 섬유업계는 코로나19 강화될 국내 생산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삼성물산·K2코리아 등은 이날 국내 중소 봉제업체와 상생협력 협약도 체결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