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만대 넘을 수소전기차, 5년 뒤 20만대 수준될 것"

머니투데이 이건희 기자 2020.05.19 11:29
글자크기

(상보)한국자동차공학회, '미래자동차 기술 개발의 상생 전략-자동차 시장을 주도할 선제적 대응' 발표회

김민수 서울대 교수가 19일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미래자동차 기술 개발의 상생 전략-자동차 시장을 주도할 선제적 대응' 발표회에서 수소전기차 분야를 발표하는 모습. /사진=이건희 기자김민수 서울대 교수가 19일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미래자동차 기술 개발의 상생 전략-자동차 시장을 주도할 선제적 대응' 발표회에서 수소전기차 분야를 발표하는 모습. /사진=이건희 기자


국내 수소전기차 시장이 올해 1만대 수준을 넘어 5년 뒤 20만대 수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부품 기술 최적화 등을 통해 5~10년 내로 차량 가격도 절반으로 낮아져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분석도 함께다.

김민수 서울대 교수는 19일 한국자동차공학회 주최로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열린 '미래자동차 기술 개발의 상생 전략-자동차 시장을 주도할 선제적 대응' 발표회에서 이 같이 밝혔다.



김 교수는 "수소전기차는 온실가스 감축 및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효율적인 대안 중 하나"라며 "이미 국내 수소전기차 승용차 누적 판매는 7000여대"라고 소개했다.

국내 수소전기차 승용차 판매 누적 현황 및 전망. /자료제공=한국자동차공학회(김민수 서울대 교수)국내 수소전기차 승용차 판매 누적 현황 및 전망. /자료제공=한국자동차공학회(김민수 서울대 교수)
그는 "이산화탄소(CO2) 규제 등을 볼 때 수소전기차는 성장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국내 수소전기차 승용차는 올해 1만대를 돌파하고 2025년에는 누적 판매 20만대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2025~2030년에는 기술 성장으로 차량 가격도 낮아져 2030년 75만대, 2040년 290만대 규모까지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승용차뿐 아니라 상용차 전망도 밝다고 김 교수는 설명했다. 그는 "2022년까지 10톤 수소전기트럭 개발이 완료되고, 2040년까지 수소전기버스 4만대, 수소전기버스 3만대 보급이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이날 김 교수는 국내 수소전기차 기술이 상당한 수준에 올라와 있다고 호평하면서도 경쟁이 심해지기에 연구를 게을리하면 안 된다고 제언했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수소전기차 양산체제 필요성을 인지하면서 경쟁이 본격화하고 중국, 독일 등 일부 국가는 정부가 적극 지원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수소전기차 대중화를 위해서는 연료전지스택, 운전장치, 수소 저장, 경량화, 수소 생산 등이 핵심"이라며 "늘어나는 차량을 감당할 충전소 등 인프라 확대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 이후 시장 잡으려면, 동력원별 차종 조화롭게 키워야"
강건용 한국자동차공학회 회장이 19일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미래자동차 기술 개발의 상생 전략-자동차 시장을 주도할 선제적 대응' 발표회에서 인사말을 전하는 모습. /사진=이건희 기자강건용 한국자동차공학회 회장이 19일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미래자동차 기술 개발의 상생 전략-자동차 시장을 주도할 선제적 대응' 발표회에서 인사말을 전하는 모습. /사진=이건희 기자
한국자동차공학회는 이날 수소전기차뿐 아니라 친환경차, 내연기관차의 미래에 대해서도 전망했다.

국내 자동차 동력원 전문가들이 모인 공학회는 코로나19(COVID-19)라는 변수도 등장한 만큼 각 동력원을 상생 개발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내연기관차의 효율을 지속 개선하면서 전기동력차 혁신도 진행해 코로나19 이후 세계 자동차 시장을 선점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배충식 한국자동차공학회 부회장(한국과학기술원 교수)는 "올해 이후 이어질 경제 불황으로 연간 17% 수준의 국내 완성차 및 부품업체 판매량 감소가 예상된다"며 "향후 시장 전망도 불투명한 상황에서 다양한 자동차 동력원 기술을 조화롭게 할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성호 성균관대 교수는 전기차 현황을 소개하면서 "전기차 핵심부품의 기술 및 가격 경쟁력을 얻기 위해 기술 내재화, 원천기술 확보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하이브리드차를 소개한 박영일 서울과학기술대 교수는 "두 종류 이상 동력원을 쓰는 하이브리드화가 진행될수록 연비 개선 수준이 높아지고 있다"며 "체계적인 지원을 하면 미래차 고(高)연비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내연기관차가 퇴출 대상이 아니라는 주장도 나왔다. 이기형 한양대 교수는 "친환경차 투자를 위한 캐시카우 역할을 하는 내연기관차 경쟁력이 중요하다"며 "신(新)연소 기술 도입과 함께 궁극적으로는 전동화와 결합한 엔진 기술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민경덕 서울대 교수는 "자동차의 생산부터 재활용까지 전생애주기분석(Life-cycle assessment, LCA)을 고려한 정책이 필요하다"며 "장기적으로 전생애주기분석 기반의 규제 움직임이 나와 관련 연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자동차공학회는 자동차 기술 및 정책 개발 로드맵 연구위원회를 구성해 2018년부터 로드맵 발표회를 진행했다. 올해로 세번째 열린 이 행사를 통해 온실가스 저감과 대기질 개선 전략 및 한국형 자동차 기술 개발 로드맵을 제시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