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먹었나' 원격 확인 가능한 日…韓 헬스케어는 걸음마

머니투데이 최민경 기자 2020.05.18 16:29
글자크기
중국에서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우한 폐렴) 공포가 확산되고 있는 28일 경기 고양시 덕양구 명지병원에서 의료진이 바이러스 감염대응을 위한 원격진료장비를 테스트하고 있다. / 사진=강민석 기자 msphoto94@중국에서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우한 폐렴) 공포가 확산되고 있는 28일 경기 고양시 덕양구 명지병원에서 의료진이 바이러스 감염대응을 위한 원격진료장비를 테스트하고 있다. / 사진=강민석 기자 msphoto94@




#원격의료를 시행하는 의사가 자가격리 중인 경증 코로나19(COVID-19) 감염자를 진단하고, 병원은 약국과 온라인으로 처방전을 전송한다.

#코로나19로 불안한 시민들이 챗봇을 통해 의사와 24시간 상담한다. 279명의 챗봇 이용자 중 66%가 코로나19에 대한 불안감이 줄어들었다고 응답했다.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기술이 일본 헬스케어 산업 생태계를 바꿔놓고 있다. 코로나19(COVID-19)를 계기로 국내서도 헬스케어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만큼 규제 완화와 스타트업 육성 등에 집중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18일 '일본 헬스케어 산업의 해외진출 및 이노베이션과 시사점'을 통해 한국과 의료 서비스 환경이 비슷한 일본 헬스케어 산업을 분석하고 한국 헬스케어 산업 발전의 방향을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은 2015년 원격진료가 허용된 이후 의료업계에서 정보통신기기를 활용한 원격진료가 확대되고 있다. 일본 원격의료시장 규모는 △2015년 127억엔 △2017년 148억엔 △2019년 199억엔으로 꾸준히 성장했다.

日 의료, 모빌리티 서비스에 실시간 복용 확인까지
특히 최근 코로나19 발생을 계기로 지난 2월부턴 약국에 처방전을 온라인으로 전송하거나 원격 복용지도를 허용하는 등 관련 규제가 잇따라 풀리고 있다. 지난 3월엔 코로나19 경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원격진료 및 보험적용을 허용했다. 일본 보건 당국은 코로나19 초진부터 원격진료 허용을 검토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또 일본은 원격진료와 차세대 모빌리티 서비스(MaaS)를 결합한 '헬스케어 모빌리티 서비스'를 추진하고 있다. 일본의 헬스케어 기업 필립스재팬은 자율주행차 회사와 협력해 원격진료 서비스에서 더 나아간 '이동 클리닉'까지 제공하고 있다.


이동 클리닉은 환자가 원하는 곳으로 모빌리티를 이동시켜 물리적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원격·대면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의료장비를 갖춘 차량에 간호사가 탑승해 환자를 방문하고 의사의 원격진료 후 간호사가 장비를 이용해 검사·처방하는 식이다.

일본의 제약업계는 의료기관에 의약품을 판매하는 단순한 사업모델에서 벗어나 디지털 치료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디지털 치료제는 질병이나 장애를 예방, 관리, 치료하기 위해 환자에게 치료적 중재를 제공하는 고도화된 소프트웨어 의료기기다. 환자의 복용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한 특수센서, 자폐 장애 치료용 비디오 게임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일본 호스피탈 산업도 스마트화되고 있다. 일본 의료기관은 디지털 기업과 협력해 AI, IoT 등을 활용해 스스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치료하는 전자동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병원모델을 추진 중이다.

한국도 원격진료 규제 풀고 스타트업 연계해야
헬스케어/사진=박의정 디자이너헬스케어/사진=박의정 디자이너
보고서는 국내 헬스케어 산업도 혁신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국내 원격진료 금지 정책은 산업 발전과 혁신성을 저해한다는 지적이다. 또 산·관·학 공동연구 역시 병원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어 의료업계와 비의료업계간 이업종 연계가 부족하다는 것도 거론됐다.

헬스케어 산업의 혁신성을 추진하는 방안으론 △국민 건강의식 개선 사업 추진 △'건강친화기업인증제' 확대 추진 △비의료업계와 의료업계간 연계 활성화 지원 △원격진료 금지 등 헬스케어 분야 규제를 완화 등 네 가지를 제시했다.

정부가 건강 관리에 대한 인식을 제고해 스타트업의 시장 참여를 활발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직원들의 건강관리에 투자하는 기업에 대해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헬스케어 산업 성장을 유도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방향을 제시했다. 일본 정부는 국민의 건강 인식을 확산시키고 헬스케어 수요를 창출하기 위해 2015년부터 기업의 건강경영 및 건강투자를 지원하고 있다.

이혜연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지난해 우리 정부도 바이오헬스 산업을 차세대 주력산업 선정하는 등 헬스케어 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했다"면서 "코로나19 이후 한국 의료시스템에 대한 국제적 인지도와 신뢰도가 상승한 지금을 기회로 삼아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의 변화에 맞는 발전 전략으로 해외진출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