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의 가치가 떨어진다…내 자산 어떻게 지킬까

머니투데이 김태현 기자 2020.05.17 13:07
글자크기

[머니]급변하는 세상, 투자도 바뀐다

코로나19(COVID-19) 이후 가장 중요한 변수로 인플레이션이 주목받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로 각국의 경제성장률이 줄줄이 하향 조정된 상황에서 쉽게 상상하긴 어렵겠지만, 전문가들은 이미 구조적 인플레이션을 기정사실화 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에 투자자들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전통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패러다임에 맞는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코로나19에 넘쳐나는 돈…인플레이션 다가온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사진=머니투데이DB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사진=머니투데이DB


코로나19에 대응하는 각국 정부의 부양책과 중앙은행의 양적완화는 유례를 찾기 어려울 만큼 전방위에서 대규모로 일어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3월 기준금리를 기존 1.00∼1.25%에서 0.00∼0.25%로 1%포인트 인하하는 '빅컷'을 단행했고, 한국은행도 기준금리를 1.25%에서 0.75%로 인하해 사상 첫 '제로금리' 시대를 열었다.

중국은 21일 개최하는 최대 정치 행사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10조위안(약 1727조원)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내놓을 계획이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 경기부양책(4조위안)보다 큰 역대 최대 규모가 될 것으로 보인다.



침체된 경기를 살리기 위한 응급조치지만, 이면에는 인플레이션 위기가 도사리고 있다. 세계적인 통화이론 전문가인 찰스 굿하트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LSE) 교수는 "봉쇄가 해제되고 경기부양 패키지가 효과를 내면서 원자재 가격이 반등할 것"이라며 "인플레이션이 2021년 5%를 넘어설 수 있고, 최대 10%에 달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공급망의 붕괴도 인플레이션을 부채질하는 요인이다. 헤지펀드 업계 거물 데이비드 아인혼 그린라이트캐피탈 창업주는 최근 투자자 서한을 통해 "시중에 풀린 자금만큼 (코로나19 영향으로) 제품이나 서비스의 공급이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과거와 다른 인플레 성격…실물자산 시대 올까
/사진=게티이미지뱅크/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전통적인 관점에서 인플레이션 시기 금융자산보다 부동산과 금 같은 실물자산이 선호를 받았다. 그러나 최근 수년간 경제 환경이 크게 변하면서 인플레이션이 온다 하더라도 이전과 같이 실물자산으로 돈이 몰리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유승민 삼성증권 연구원은 "인플레이션이 현실화된다면 실물자산 상대성과의 추세반전을 기대할 수 있지만, 과거와는 다른 조건임을 인식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일단 인플레이션의 성격부터 다르다. 실물자산이 크게 올랐던 2차대전 직후를 살펴보자. 당시 인플레이션이 크게 상승했던 이유는 전후복구 수요 때문이다. 전통적 토목이 대표적이다. 그만큼 '상품'에 대한 가치도 높아질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코로나19 이후 다가올 인플레이션은 다르다. 정부의 재정투입의 초점은 전통적 토목보다 ICT(정보통신기술), 환경, 보안, 의료 등 무형자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실물자산을 대표하는 '상품'의 가격을 끌어올리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실물자산과 금융자산의 경계가 모호해졌다는 것도 주목해야 한다. 과거와 달리 현재 실물자산은 다양한 형태로 금융자산에 복제되고 있다. 최근 투자자에게 주목 받는 원유선물 관련 상장지수펀드(ETF)와 상장지수증권(ETN) 등 상장지수상품(ETP)가 한 예다.

유 연구원은 "과거처럼 실물자산과 금융자산을 구분지어 투자하는 일은 현 시대에 적절하지 않다"며 "전통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자산배분 전략을 짜야한다"고 말했다.

주식으로 인플레 헤지…국가별 투자전략 의미 없다
/그래픽=임종철 디자이너 / 사진=임종철 디자이너/그래픽=임종철 디자이너 / 사진=임종철 디자이너
주식도 인플레이션 시대의 투자처로 꼽힌다. 유 연구원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지더라도 중앙은행이 금리를 통제하기 때문에 기업은 낮은금리로 투자자금을 조달해 제품과 서비스의 가격 인상분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주식은 이미 10년 간의 주가 상승에 따라 높아진 절대 밸류에이션에도 불구하고 중장기적인 자산 수익률이 채권보다 크게 우위일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주식 투자에 있어 선진국과 신흥국을 구분하는 투자 전략은 더 이상 의미가 없다고 지적이 나온다. 글로벌 분업의 시대가 끝을 바라보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무역협회는 최근 '포스트 코로나19 시대 통상환경의 변화'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는 미국과 중국 등 글로벌 보호무역주의가 확산되던 시기에 발생해 바이러스 종식과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제사회의 공조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글로벌 소비자'로서의 선진국, '글로벌 제조자'로서의 신흥국이라는 전통적인 역할을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유 연구원은 "기업의 국적보다는 산업 내 지배력이 과거보다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며 "시장지배력을 가진 기업만 살아남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