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기부 vs 착한 소비…재난지원금 정하셨나요?

머니투데이 오상헌 기자 2020.05.08 05:30
글자크기
(서울=뉴스1) 허경 기자 = 전 국민이 받는 정부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이 시작된 4일 서울 종로구의 한 주민센터에 긴급재난지원금 안내 현수막이 걸려 있다.(서울=뉴스1) 허경 기자 = 전 국민이 받는 정부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이 시작된 4일 서울 종로구의 한 주민센터에 긴급재난지원금 안내 현수막이 걸려 있다.


가구당 최대 100만원씩 지급하는 긴급재난지원금 신청이 11일부터 시작되는 가운데 각계에서 '착한 기부' 동참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 부부가 60만원(2인 가구) 기부를 공식화했고, 여권이 '기부 릴레이'를 시작하면서 민간기업과 일반 시민들로 온기가 확산될지 주목된다. '관제 기부' 논란도 여전한 만큼 '자발성'이 기부 확산 여부를 가를 키워드다.



신청시·수령후 기부 가능…15% 세액공제
8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긴급재난지원금은 신청시 전액 혹은 일부 금액의 기부 의사를 밝히거나 수령 후 근로복지공단에 기부할 수 있다. 오는 11일부터 시작되는 신청일부터 3개월 이내에 재난지원금을 신청하지 않으면 '자발적 기부'로 간주한다.

재난지원금을 신용·체크카드로 받으면 만원 단위로 기부금을 선택한 금액을 제하고 충전된다. 선불카드와 지역사랑상품권도 기부금액을 정할 수 있다. 기부를 선택하면 연말정산이나 종합소득세 신고 때 기부금의 15%는 세액공제한다.



지자체 기부 물결, 익명 주민 '현물' 기부도
기부 물결은 시·군 단위 지자체 중심으로 번지고 있다. 전남 나주시와 충북 청주시는 이날 각각 5급·4급 이상 공무원이 전액 기부에 동참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전남 목포시, 충북 제천시·전남 장성군 등도 마찬가지다.

부산 해운대구의 경우 기부 창구를 운영하고 '힘내라 해운대 기부 릴레이'에 나섰다. 경기 의왕시에선 지난 4일 익명의 기부자가 재난기본소득으로 구매한 백미(10kg, 10포)를 취약계층을 위해 사용해 달라며 주민센터에 기부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역사회의 미담이 되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도 재난지원금 지급을 위한 2차 추가경정예산안이 국회를 통과한 이후 '기부 릴레이'에 나서기로 했다. 정치권과 광역자치단체에서도 기부 행렬이 이어질 가능성이 커 보인다.


(서울=뉴스1) 이승배 기자 = 4일 오후 서울 성북구청 긴급재난지원금 추진단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전국민이 받는 긴급재난지원금은 이날부터 지급 및 조회가 가능하며, 1인 가구는 40만원, 2인 가구는 60만원, 3인 가구는 80만원, 4인 이상 가구는 100만원을 받을 수 있다. 2020.5.4/뉴스1(서울=뉴스1) 이승배 기자 = 4일 오후 서울 성북구청 긴급재난지원금 추진단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전국민이 받는 긴급재난지원금은 이날부터 지급 및 조회가 가능하며, 1인 가구는 40만원, 2인 가구는 60만원, 3인 가구는 80만원, 4인 이상 가구는 100만원을 받을 수 있다. 2020.5.4/뉴스1
文 "60만원 기부"…민간도 기부 '자발성' 핵심
공공 부문 외 민간 영역도 예외가 아니다. 금융권에선 농협과 메리츠금융이 각각 임직원 5000명, 2700명이 참여하는 기부를 선언했다. 종교계에선 조계종이 기부 의사를 밝혔다. 중소기업중앙회 회장단과 이사, 지역회장단도 지난 6일 기부에 동참하겠다고 했다.

민간 대기업 중에선 아직 회사 차원의 재난지원금 기부 계획을 밝힌 곳이 없다. 임직원 개개인의 자발성과 판단이 기준이 돼야 하기 때문이다.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지난 6일 "상의가 나설 일은 아닌 것 같다.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고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문재인 대통령도 재난지원금 지급이 시작된 지난 4일 "기부는 선의의 자발적 선택"이라고 했다. "형편이 되는 만큼, 뜻이 있는 만큼 참여하면 된다"고 했다. 독려는 하되, 강요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관제 기부' 논란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전날 김정숙 여사와 함께 재난지원금 60만원을 기부하겠다고 했다.

누리꾼들 "착한 기부, 착한 소비 국난 극복 기여"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재난지원금 기부와 소비 사이에서 고민하는 글들이 적잖다. 지난 7일 "재난지원금 기부 생각해 보셨어요?"란 제목으로 지역 맘카페에 올라온 글엔 "나라 살림살이와 사회적 연대를 위해 기부를 택하겠다"는 누리꾼들의 댓글이 이어졌다. 다른 커뮤니티에서도 "대기업을 다녀 상대적으로 코로나 영향을 덜 받았으나 형편이 나보다 어려운 분들을 위해 기부하기로 가족과 뜻을 모았다"는 글이 올라왔다. 기부금은 고용 유지와 실직자 지원에 쓰인다.

일부 누리꾼은 "소비를 늘려 경기를 활성화하려는 재난지원금의 취지에 맞게 적절히 소비하는 것도 나라를 위해 좋은 일"이라고 썼다. 여기에도 공감을 표하는 댓글이 많았다. 기부든, 소비든 국난 극복에 보탬이 되는 만큼 각자의 여건에 맞게 선택하면 된다는 것이다. 김경수 경남도지사도 지난 5일 페이스북에 지원금 기부의사를 밝히면서 "형편이 괜찮은 분들은 착한 기부로, 어려운 분들은 착한 소비로 힘을 모아달라"고 했다.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을 기초생활수급자 등 저소득층 280만가구에게 지급예정인 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종로1,2,3,4가동 주민센터에 안내문이 붙어 있다. 일반 가구는 일주일 뒤인 11일(온라인) 또는 18일(오프라인)부터 세대주가 신청 가능하다. 2020.05.04.     20hwan@newsis.com[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을 기초생활수급자 등 저소득층 280만가구에게 지급예정인 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종로1,2,3,4가동 주민센터에 안내문이 붙어 있다. 일반 가구는 일주일 뒤인 11일(온라인) 또는 18일(오프라인)부터 세대주가 신청 가능하다. 2020.05.04. [email protect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