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는 단기간 회복 후 조정 중…'동학개미들'의 투자 고민

머니투데이 한정수 기자 2020.04.12 09:00
글자크기
코스피가 전 거래일 대비 34.89포인트(2.19%) 오른 1626.09로 출발, 코스닥이 16.46포인트(3.39%) 오른 501.59로 상승 출발한 지난달 19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돼 있다. /사진=김휘선 기자코스피가 전 거래일 대비 34.89포인트(2.19%) 오른 1626.09로 출발, 코스닥이 16.46포인트(3.39%) 오른 501.59로 상승 출발한 지난달 19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돼 있다. /사진=김휘선 기자


이번 주 국내 증시는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다. 미국 증시 역시 마찬가지였다. 코로나19(COVID-19) 확산세가 곧 정점을 통과할 것이라는 기대감, 세계 각국의 경기 부양책 등이 증시를 밀어 올렸다. 국내 증시에서는 여전히 외국인의 순매도에 맞선 개인들의 힘이 돋보였다.



다음 주에는 이번 주와 같이 크게 반등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국내 기업들의 올해 1분기 잠정 실적이 본격적으로 베일을 벗는 점, 미국과 중국의 경제 지표가 발표되는 점 등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코로나19로 국내 기업들의 실적이 크게 악화할 것이 확실시된다는 점이 지수를 끌어내릴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단기 변동성 확대 가능성 있어…회복장 안심 금물"
지난 7일 삼성전자를 시작으로 올해 1분기 기업들의 실적 발표 시즌이 시작됐다. 삼성전자는 예상보다 양호한 실적을 내며 선방했지만 시장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실적을 발표할 기업들도 많을 전망이다.



김용구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다음 주 시장 이목은 국내외 증시 1분기 실적 변수에 집중될 전망"이라며 "코로나19 전세계 대창궐과 관련한 증시 펀더멘털(기초체력) 정도를 가늠하는 첫 번째 이벤트라는 점에서 이번 1분기 실적 시즌이 갖는 시장의 함의는 각별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올해 코스피 영업이익 시장 예상치는 146조3000억원으로 코로나19 발발 이후 가파른 실적 눈높이 하향 조정 시도가 연일 이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조정 장세가 시작될 것으로 예측하는 이유는 더 있다. 실적과 관련한 부정적인 영향뿐 아니라 단기간 회복이 일어나면서 차익매물이 나올 가능성도 높기 때문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경제지표, 기업 실적 결과에 대해 부정적인 이슈나 뉴스들이 이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 단기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열어둬야 할 시점"이라며 "단기 급반등으로 코스피 지수가 1850선을 넘어섬에 따라 당분간 단기 과열해소, 물량소화 국면 전개 가능성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각종 글로벌 경제 지표가 시장 불안감을 키울 가능성도 제기된다. 다음 주 중국은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과 지난달 수출 및 수입 등을 발표한다. 모두 큰 폭으로 감소했을 가능성이 높다. 미국은 지난달 산업생산과 소매판매 등에 대한 지표가 발표될 예정이다.

임종철 디자인기자 / 사진=임종철 디자인기자임종철 디자인기자 / 사진=임종철 디자인기자
"실적·코로나19 수혜에 주목…낙폭과대株도 관심가져야"
투자자들의 관심사는 단기간 회복 이후 조정장이 이어질 때 어떤 방식의 투자 전략을 취해야 하냐는 것이다. 증권업계 전문가들은 최근 글로벌 증시의 회복 속도가 빠른 것은 세계 각국의 경기부양책에 따른 하반기 경기 회복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 때문이라며 실적 개선 가능성이 높은 종목들에 대한 적극적인 접근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전문가들은 구체적으로 코로나19의 영향을 덜 받는 업종을 추천했다. IT(정보통신 기술)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종목들, 통신업종 및 5G 관련 종목 등이다. 이 밖에 코로나19로 수혜가 예상되는 언택트(비대면) 관련 종목들 중 온라인 결제 관련 종목 등 실제 실적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는 종목들도 추천 종목으로 꼽힌다.

그간 낙폭이 컸던 종목들에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신승진 삼성증권 연구원은 "현재는 시장에 대한 전망보다 유동성 유입장에 대비한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며 "유동성이 유입됐을 때 상대적으로 아웃퍼폼이 가능한 낙폭과대업종 대표주, 코로나19로 보편화된 언택트 수혜기업, 역사적 저점 수준에 위치한 복합기업 등이 그 대상"이라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