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의 못해" 걸어 나간 멕시코, 유가 다시 20달러 가나

머니투데이 김성은 기자, 이상배 특파원 2020.04.10 14:43
글자크기
/사진=AFP/사진=AFP


한 달 전 러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이하 사우디)의 이견 충돌로 불발됐던 석유 감산 합의가 이번에는 멕시코의 어깃장으로 위기에 놓였다. 게다가 당초 합의키로 했던 하루 1000만배럴의 감산량도 기대에 못미쳐 유가를 올리기엔 부족할 것이란 전망들이 나온다.

하루 40만 배럴 감산 요구에 멕시코 "10만 배럴 감산할 것"
지난 9일(현지시간) 블룸버그, 로이터 등에 따르면 이날 미 동부시간 기준 오전 10시30분부터 9시간 넘게 OPEC+ 화상회의가 진행됐지만 공식합의 발표는 불발됐다.



OPEC(석유수출기구)에 러시아 등 10개 비(非) OPEC 산유국들까지 참여한 OPEC+ 이번 회의는 사우디와 러시아 주도로 열렸다. 회의가 열리기 전까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푸틴 러시아 대통령, 모하메드 빈살만 사우디 왕세자와 통화 사실을 밝히는 등 사실상 중재를 시도해왔음을 여러 차례 피력했었다.

당초 도출될 것으로 예상됐던 합의안 내용은 하루 1000만배럴 감산이었다. 로이터에 따르면 기간별 하루 감산량은 △5∼6월 1000만 배럴 △7∼12월 800만 배럴 △2021년 1월∼2022년 4월 600만 배럴로 정해진 것으로 보도됐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블룸버그에 따르면 사우디는 현재 하루 1200만 배럴에 달하는 석유 생산량을 330배럴 감소하고, 러시아는 1040만 배럴에 달하는 생산량에서 200만 배럴 줄이는 데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밖에 다른 회원국들이 약 23% 감산하는 방식이다.

로이터에 따르면 OPEC+은 멕시코에 대해 하루 약 40만 배럴의 감산을 요청했다. 반면 로시오 날아 가르시아 멕시코 에너지부 장관은 트위터를 통해 "우리는 향후 두 달 간 하루 10만 배럴의 생산량을 감축할 용의가 있다"고 밝혀 견해차를 드러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기준 멕시코 하루 생산량은 195만배럴이었다.


블룸버그가 인용한 관계자에 따르면 OPEC+ 그룹 자체는 10일 중 다시 만날 계획이 없고 대신 이날 열리는 G-20 에너지 장관 회의에서 논의에 초점을 맞춘다는 계획이다.

2분기 2000만 배럴 공급 과잉, 1000만 배럴 감산으론 '부족'…유가 '뚝'
OPEC+이 감산에 합의했다 하더라도 시장에서는 실망 어린 반응들이 나왔다. 감산량이 코로나19로 인한 수요 급감을 해소하기엔 부족하단 지적에서였다.

에너지 기업 컨설팅업체 라이스타드 에너지의 한 애널리스트는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2분기 하루 2000만 배럴 이상 공급 과잉이 예상된단 점을 감안할 때 감축은 충분치 않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4월 하루 최대 2700만배럴까지 수요가 급감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인도는 봉쇄 이후 석유 수요가 70%가량 떨어졌다. 미국은 지난 3일로 끝난 한 주간 가솔린 수요가 하루 500만배럴로 3주전(960만배럴) 대비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유가도 급락했다. 전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9.29% 떨어진 22.76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골드만삭스는 "OPEC+의 발표로 가격 상승이 있을 수 있지만 우리는 단기적 관점에서 WTI가 다시 배럴당 20달러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본다"며 "수요 충격 규모가 너무 크기 때문에 혹독한 재조정의 단계를 다시 마련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