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6개국이 SOS, 코로나 진단키트 수출 팍팍 밀어준다

머니투데이 세종=권혜민 기자 2020.04.09 06:00
글자크기
3월 12일 UAE에 수출하기 위한 진단키트 관련 물품이 인천공항 근처 물류 창고에 보관돼 있다. /사진제공=외교부3월 12일 UAE에 수출하기 위한 진단키트 관련 물품이 인천공항 근처 물류 창고에 보관돼 있다. /사진제공=외교부


정부가 '코로나19'(COVID-19) 사태를 계기로 전세계 러브콜이 쏟아진 한국산 진단키트의 수출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수출 잠재력이 확인된 'K-방역' 제품을 새로운 수출 유망 상품으로 키우겠다는 취지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8일 4차 비상경제회의 이후 열린 관계부처 합동브리핑에서 "세계적으로 관심을 끌고 있는 한국산 진단키트는 범부처 수출지원체제를 가동해서 글로벌 시장 선점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전세계가 코로나19 영향권에 들어온 이후 의료용품, 위생용품 등 '메이드 인 코리아' 제품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초기에 코로나19 확산을 경험하며 선제적으로 진단키트를 개발, 누적 데이터가 쌓이며 신뢰도가 검증된 한국산 진단키트에 대한 각국의 구매 요청이 쏟아졌다.

외교부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 총 126개국이 한국에 진단키트 유·무상 공급을 요청했다. 지난달 진단키트 수출액은 4865만1000달러로 지난해 3월과 비교해 117% 늘었다. 수출 잠재력이 확인된 셈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검체매칭 확대 △긴급승인 △국제표준 선점 △물류·투자 등 맞춤형 지원을 통해 진단키트 생산과 수출 확대를 적극 돕기로 했다.

먼저 보건복지부는 진단기업과 다수 검체 보유기관 간 매칭 서비스를 확대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질병관리본부는 긴급사용승인을 통해 빠른 현장 공급을 도울 계획이다.

산업부와 식약처, 특허청은 국제표준을 선점하기 위해 올 11월 한국 진단기법을 국제표준으로 제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최초로 개발한 진단키트, 워크스루 검진방식 등에 대한 지적재산권 보호를 강화하기로 했다.


수출 확대를 위한 해외마케팅과 물류·통관에 대해서도 범부처 지원이 이뤄진다. 온라인홍보·화상상담을 지원하고 원자재 수출입 운송 지원, 완제품 수출통관 패스트트랙 적용 등을 통해 수출 걸림돌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진단키트 관련 유망기업에는 모태펀드 투자와 보증, 수출보험 등도 지원한다.

아울러 정부는 진단키트 외에도 △의료용품 △위생용품 △건강식품 △홈쿠킹 △홈뷰티 △청정가전 △디지털장비 등 코로나19 특수가 기대되는 7대 상품군에 대해 패키지 수출지원을 시작한다.

또 비대면(언택트) 경제 확산으로 중요성이 커진 온라인 콘텐츠도 해외 진출을 적극 도울 계획이다. 게임·음악·드라마 등 콘텐츠 수출을 위한 종합 지원체계를 구축해 통·번역, 현지플랫폼 진출 등을 밀착 지원하기로 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