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언론도 인정한 韓 코로나 진단…"검사 안하면 늦어"

머니투데이 김성은 기자 2020.04.03 14:02
글자크기
/사진=머니투데이DB/사진=머니투데이DB


일본에서 코로나19(COVID-19) 확산세가 빨라진 가운데 아사히신문이 한국에서 이탈리아와 같은 '의료 붕괴'가 일어나지 않았던 이유를 집중 보도했다. 신문은 △빠른 검사(진단) △추적 △치료의 충실함 세 가지를 그 이유로 들었다. 또 충실한 시민의식도 빛을 발했다고 덧붙였다.



2일 일본 아사히신문은 "한국의 코로나19 검사 수는 이날 기준 43만 건을 넘었다"면서 "(한국은) 감염자를 특정할 목적으로 적극적인 검사를 해왔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한국의 검사 능력은 하루 약 2만 건"이라며 "일본에서는 한국의 검사에 대해 정확성 문제가 있단 점도 지적하지만 한국 의료계에서는 '일단 검사하지 않으면 그 다음 단계인 격리나 치료로 나아갈 수 없어 너무 늦어진다'는 점을 강조한다"고 전했다.



한국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검사 능력은 일본에서도 그동안 꾸준히 비판이 제기돼 왔다. 2일 니혼게이자이신문도 일본의 하루 검사 능력은 2000건 미만으로 인구 100만명 당 검사 수는 독일의 17분의 1에 불과하다고 보도했다.

영국 옥스포드대 연구팀에 따르면 지난달 20일 기준, 세계 각국의 '인구 100만명 당 검사 건수'에서 한국은 약 6000건으로 1위였다. 이어 호주, 독일 등이 뒤를 이었다.

아사히신문은 또 한국의 빠른 검사 능력과 관련, 인천공항의 '워킹스루' 검사 부스도 소개했다. 인천공항에 16개 마련된 검사 부스에서는 1인당 검사가 약 5분 만에 이뤄지며 하루 약 2000명의 검사도 할 수 있단 내용이었다.


감염자는 물론 감염자와 접촉한 이들을 추적하는 인프라에 대해서도 집중 소개했다. 아사히는 "한국은 거의 현금을 쓰지 않는 사회로 지하철이나 버스에서도 교통카드를 이용, 사람들이 어떤 교통 수단을 이용했는지 파악할 수 있다"며 "쇼핑이나 택시도 신용카드로 계산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같은 (결제) 기록과 휴대전화 GPS(위치정보시스템) 정보 등을 통합한 새로운 시스템 운용을 시작해 한국의 보건당국은 10분 내 감염자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게 됐다"며 "보건당국은 감염자의 이동 데이터를 익명으로 공개하는 한편 이를 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앱도 개발돼 많은 사람들이 활용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우수한 의료 인프라도 조명됐다. 신문은 "원래 한국의 의료 인프라는 충실하다"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의하면 한국의 병상 수는 2017년 기준 인구 1000명 당 12.3개로 OECD 평균(4.7)보다 많다"고 설명했다.

이밖에도 아사히는 "시민들의 방역 참여도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지하철 안에서는 거의 전원이 마스크를 쓰고 정부로부터 외출 금지령이 내려지지 않았지만 사람들은 자주 밖에 나가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또 아사히는 고려대 박기수 교수를 인용해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이 확산하면서 38명이 숨졌던 경험에서 의료, 행정, 사회, 심리에 이르기까지 어느 부분이 취약한지를 가려낸 결과"라고 설명했다.

다만 "정부 자제 요청에도 불구하고 교회가 예배를 강행하거나 젊은 사람들이 노래방 등에 모이는 사례가 있어 (한국도) 집단 감영의 위험은 아직 남아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