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진콜'로 혼선 커진 단기자금시장에 7조 지원

머니투데이 김소연 기자 2020.03.24 16:31
글자크기

24일 코로나19 관련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콜금리 규제 15%→30%로 완화(종합)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관련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 사진=김창현 기자 chmt@은성수 금융위원장이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관련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 사진=김창현 기자 chmt@


정부가 '코로나19'로 글로벌 증시가 출렁이면서 덩달아 위기에 빠진 단기자금시장 지원에 7조원을 투입한다. 최근 ELS·DLS(파생결합증권) 자체 헤지(위험회피) 비중이 높은 증권사들에 마진콜(추가 증거금 요구)이 발생, 이들이 현금을 마련하기 위해 단기채권을 대규모로 시장에 던지면서 시장에 문제가 생긴 데 따른 것이다.

24일 금융위원회는 이날 증권시장·채권시장 안정, 단기자금시장 대책 등이 담긴 '코로나19 관련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중 새롭게 담긴 내용은 단기자금시장 대책이다.



지난 20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삼성증권, 미래에셋대우, 한국투자증권, 메리츠증권, 부국증권, KTB투자증권 등 6개 증권사와 각각 오전, 오후로 나눠 CP(기업어음) 등 단기금융 관련 긴급회의를 진행했다.

지난주 ELS 발행액이 큰 삼성증권,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대우 등 3개 대형 증권사에 3조원여 규모의 마진콜이 발생했다. 이들은 해외 주요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를 발행한 후 헤지를 하기 위해 매수한 파생상품에서 마진콜이 발생하자, 증거금 마련을 위해 CP 등 단기채권을 시장에 대거 쏟아냈다. 이에 단기채권 금리가 급등(채권가격은 하락)하면서 수요가 급감, 기업 신용경색 우려가 커졌다.



이에 금융위는 채권안정펀드를 가동하면서 우량기업 CP 등을 매입하도록 하는 한편, 증권사들이 단기자금시장을 흔들지 않도록 유동성 지원에 나섰다. 글로벌 증시가 추가 하락하면 또다시 수조원대 마진콜이 발생, 동일한 일이 반복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했다.

이번에 단기자금시장 안정을 위해 투입하는 자금은 총 7조원이다. 이중 증권사 유동성 지원이 5조원 규모다.

먼저 증권금융을 통해 약 2조5000억원의 유동성을 공급한다. 증금은 MMF(머니마켓펀드) 등 자체 재원을 통해 1조원, 투자자 예탁금 재원을 활용해 1조5000억원 등 총 2조5000억원을 증권사에 대출한다.


한국은행은 2조5000억원 규모로 RP(환매조건부채권) 매수에 나선다. RP 매입대상 기관 범위도 현재 은행 17개, 증권사 4개, 증권금융에서 통안증권 대상 증권사 7곳과 국고채전문딜러(PD)로 선정된 증권사 4곳까지 추가한다.

산업은행이나 기업은행을 통해 2조원 규모 우량 CP·전자단기사채 매입에도 나선다. 또 일시적 유동성 위기가 발생해 시장에서 소화가 안되는 기업의 채권은 산은과 신보가 추가 신용보강을 통해 차환 지원을 추진할 예정이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최근 단기신용등급이 A1에서 A2로 낮춰진 기업들이 대표 사례다.

증권사 건의를 받아들여 콜시장 규제도 완화한다. 증권사 콜차입 한도는 현재 국고채 딜러 등 일부 증권사만 자기자본 15% 내에서 가능한데, 이를 30%로 확대한다. 상대적으로 유동성이 양호한 은행을 통해 자금을 빌릴 수 있게 되면 증권사 숨통이 트여 단기채를 급매각하는 일이 적어질 수 있다. 콜론 한도도 현행 2%에서 4%로 확대한다.

정책금융기관을 통한 CP(기업어음), 전자단기사채 차환도 지원한다. 먼저 우량기업 시장성 차입은 채안펀드를 통해 지원하되, 그 이전이라도 산업은행이나 기업은행을 통해 2조원 규모를 선매입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