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 살해 교수, 카톡본사 찾아 "지워달라"…웃픈 사연들

머니투데이 조성훈 기자 2020.03.17 16:24
글자크기

[카카오톡 10年 ②]카톡, 생활을 바꿨다

삽화_카톡_업무지시_퇴근_감옥_카카오톡_금지법 / 사진=김현정디자이너삽화_카톡_업무지시_퇴근_감옥_카카오톡_금지법 / 사진=김현정디자이너


카카오톡이 서비스 10년을 맞으면서 울고 웃는 사연과 사건, 논란도 적지않았다. 카톡이 신속하고 광범위한 소통과 토론의 장이 됐지만 감청논란으로 사회적 이슈로 떠올랐고 가짜뉴스나 음란물 전파, 각종 사이버 폭력, 범죄의 수단으로 악용되는 등 부정적 측면도 상존한다.

서비스 초기 화제가 됐던 에피소드는 한 대학교수의 아내 살인사건이다. 2011년 조강지처를 살해한 대학교수가 내연녀와 범행을 모의한 카톡메시지가 경찰에 발각될 것을 우려해 경기도 성남시 카카오 본사를 찾아 기록을 삭제 요청 했는데, 이를 수상히 여긴 경찰에 꼬리가 밟힌 것. 서버용량 문제로 대화내용이 일정기간 뒤 자동 삭제된다는 사실을 몰랐던 것이다.



그런데 당시 사건과 관련, 일부 사용자들은 “카카오톡이 왜 사용자 동의도 없이 대화내용을 서버에 저장했느냐”면서 문제를 제기했다. 상대방의 메시지 확인시까지는 일정기간 저장이 필요한 메시징 서비스 기술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2014년 10월 13일 이석우 당시 다음카카오 대표이사가 서울 중구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가진 긴급 간담회에서 최근 여러 논란과 관련해 입장을 밝히고 있다. 이 대표는 이날 "최근 여러 논란에 대해 깊은 사과를 드린다"며 "본인의 안이한 인식 미숙한 대처로 사용자 불안과 혼란을 끼쳐 송구스럽다"고 밝혔다. 2014.10.13/뉴스12014년 10월 13일 이석우 당시 다음카카오 대표이사가 서울 중구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가진 긴급 간담회에서 최근 여러 논란과 관련해 입장을 밝히고 있다. 이 대표는 이날 "최근 여러 논란에 대해 깊은 사과를 드린다"며 "본인의 안이한 인식 미숙한 대처로 사용자 불안과 혼란을 끼쳐 송구스럽다"고 밝혔다. 2014.10.13/뉴스1
몇 해 뒤엔 카카오톡의 최대 위기였던 감청논란이 불거졌다. 2014년 박근혜 정부 당시 검경이 세월호 수사과정에서 특정 카톡 이용자 대화내용을 들여다본 것이 드러나 큰 파장을 일으켰다. 이에 불안감을 느낀 이용자들이 해외에 서버를 둔 텔레그램 등 외산 메신저로 대대적인 ‘사이버 망명’에 나섰다. 위기감을 느낀 카카오는 감청영장 불응방침을 밝히는 등 수사기관과 맞서 논란이 커졌다. 이후 대법원 판결에 따라 압수수색시 서버에 저장된 2~3일치 대화 내용만 제공하면서 프라이버시 논란이 일단락됐다.



가짜뉴스와 성희롱, 음란물 전파 등은 카톡의 자유로운 소통기능과 확장성이 무분별하게 남용되며 초래한 어두운 그림자다. 단톡방의 은밀한 속성과 ‘우리끼리’ 문화로 인해 성희롱이나 집단 따돌림, 갑질사건이 수시로 터져 나온다. 정준영, 최종훈 등 일부 연예인의 단톡방 대화가 폭로되면서 드러난 몰카촬영 및 집단성폭행 사건은 그야말로 사회적 공분을 일으켰다.

가짜뉴스도 마찬가지다. 최근에도 “확진자가 어느 병원에 있다”거나 “가게 주인이 신천지 신자”라는 등의 가짜뉴스가 삽시간에 카톡으로 퍼져 어마어마한 사회적 폐해와 혼선을 일으키고있다. 성숙한 시민의식과 사회적 통제가 요구되는 측면이다.
A씨가 자신의 휴대전화 2대를 이용해 조작한 카톡 내용. A씨는 세월호 구조 현장에 투입된 민간 잠수부인 체 했지만 가스배달부인 것으로 드러났다. / 사진제공=합본A씨가 자신의 휴대전화 2대를 이용해 조작한 카톡 내용. A씨는 세월호 구조 현장에 투입된 민간 잠수부인 체 했지만 가스배달부인 것으로 드러났다. / 사진제공=합본
카톡은 직장인들의 업무부담을 가중시킨 주범이라는 비판도 받는다. 주 52시간 근무제와 워라밸 문화에도 퇴근 뒤 업무카톡이 지속돼서인데, 이에 퇴근 뒤에는 업무관련 카톡연락을 금지하는 이른바 ‘퇴근뒤 카톡금지법’(근로기준법 일부개정안)이 발의되기도 했다. 카톡 의존도가 높은 만큼 장애가 벌어질 경우 국민적 대혼란이 초래되기도 한다. 실제 재택근무가 본격화된 이달초 갑작스런 카톡 장애로 상당한 불편을 일으켰다. 국민 메시징 서비스로서 카카오의 시스템 관리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