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합계출산율 0.92명…올해부터 인구 줄어든다

머니투데이 세종=최우영 기자, 유선일 기자 2020.02.27 05:00
글자크기
텅 빈 신생아실. /사진=뉴스1텅 빈 신생아실. /사진=뉴스1


지난해 한국의 인구 증가가 사실상 멈췄다. 전쟁이나 역병 없이도 출생아가 역대최저를 기록한 탓이다. 사망자는 역대 두번째로 많았다. 올해부터 인구의 자연감소가 예상된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19년 인구동향조사 출생·사망통계 잠정 결과’에 따르면 2019년 총 출생아는 30만3100명으로 2018년보다 2만3700명(-7.3%) 감소했다. 1970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래 가장 적었다.



합계출산율은 0.92명으로 전년(0.98명)보다 0.06명(-5.9%) 감소했다. 이는 여자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수를 뜻한다. 인구 유지를 위한 최소 합계출산율(2.1명)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통계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한국의 합계출산율이 가장 낮을 것으로 예상했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한 세대를 30년으로 본다면 30년 후 출생아 수는 지금의 절반에 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생아가 줄어드는 새 지난해 사망자는 29만5100명으로 1년 새 3700명(-1.2%) 감소했다. 2018년 한파 등으로 사망자 수가 이례적으로 많았던 탓에 전년대비 사망자 수가 줄었지만 절대 규모는 역대 두번째로 많은 수준이다.

신생아의 감소와 적지 않은 사망자 탓에 지난해 인구 자연증가(출생-사망)는 8000명으로 전년대비 2만명(-71.7%) 감소했다. 이 역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적다. 인구 자연증가율(인구 1000명당 자연증가)은 0.2명으로 전년보다 0.4명 감소했다.

김진 과장은 “인구 자연증가 7900명은 거의 0에 가까운 숫자”라며 “향후 어떻게 될지 전망하기 어렵긴 하지만 이런 추세라면 올해 인구 자연감소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출생이 줄어든 주요 원인으로는 주출산 연령층인 30~34세 여성 인구 감소, 비혼·만혼 증가 등이 꼽힌다.

통계청에 따르면 30~34세 여성 인구 증감율(전년대비)은 2016년 –5.4%, 2017년 –5.9%, 2018년 –5.0%, 2019년 –2.7%를 기록했다. 혼인 건수는 지난해 23만9210건을 기록해 전년보다 7.1% 감소했다. 혼인 건수는 8년 연속 감소다.



결혼을 하더라도 시기가 늦어져 출생아 수 감소에 영향을 줬다. 모(母)의 평균 출산연령은 전년대비 0.2세 상승한 33.0세를 기록했다. 평균 출산연령은 첫째아 32.2세, 둘째아 33.8세, 셋째아 35.2세다.

통계청은 “첫째‧둘째‧셋째아 출산모의 평균 연령은 전년보다 0.1~0.3세 상승했다”며 “고령(35세 이상) 산모 구성비는 33.3%로 전년보다 1.5%포인트 증가했다”고 밝혔다.

출생성비(여아 100명당 남아 수)는 105.7명으로 전년보다 0.3명 증가했다. 첫째아의 출생성비는 전년보다 1.1명 증가했지만 둘째아, 셋째아 이상은 전년보다 각각 0.5명, 2.9명 감소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