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22일 인천 서구 경인양행 본사에서 '제3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를 열어 '2020년 소재‧부품‧장비 대책 시행계획'을 논의하고 기업간 협력사업 6건을 승인했다.

이를 위해 소부장 경쟁력 대책 이행과 예산 집행에 속도를 낸다. 특별회계를 통해 편성한 올해 예산 2조1000억원은 사업계획을 확정해 1월부터 집행을 시작한다. 상반기 중 전체 예산의 70% 이상을 쓰는 게 목표다.
소부장 대책 75개 세부과제 중 현재 36개가 완료됐는데, 상반기 안에 71개의 이행을 마칠 계획이다. 법 개정 등이 필요한 나머지 4개 과제도 하반기 안에 끝마친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올해 수출규제 대상 품목인 △불산액·불화수소가스 △EUV 레지스트 △불화폴리이미드의 완전한 수급 안정을 확보할 계획이다. 중요도가 높은 100대 품목 기술개발엔 1조2000억원을 투입한다.
개발한 기술이 생산 단계까지 적용될 수 있도록 1500억원을 들여 15개 공공연구소‧나노팹 등 테스트베드를 확충한다. 32개 공공연구기관 중심의 융합혁신지원단을 통해 인력파견, 기술자문도 돕는다.
3월 3개 대학에 상생형 계약학과를 신설해 소부장 인력양성을 지원하고, 소부장 중소기업에 1조원 규모 보증, 정책자금 지원 등 자금지원도 확대한다.
기업간 협력사업 확대…1조 투자펀드 조성

원활한 투자가 이뤄지도록 △산업부 1000억원 △중기부 1000억원 △금융위 4000억원 등 소부장 투자펀드도 조성‧운용도 시작한다. 펀드 규모는 연내 1조원 규모로 늘리는 방안을 추진한다.
해외 소부장 기업의 국내 투자 확대를 위해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독일 등 소부장 강국과의 협력도 확대한다. '해외 M&A‧투자 공동지원 협의체'와 연계해 해외기업 M&A도 지원한다.
아울러 전방위적 지원을 위한 추진체계도 계속 가동한다. 경쟁력위원회를 소부장 컨트롤타워로 부처간 협업을 이어가고, 수급대응지원센터는 기업애로, 규제개선을 위한 상시 접수창구로 활용한다.
반도체·이차전지 소재 자립 프로젝트 추진

신규 협력사업에는 수요·공급기업간 공동 연구개발과 시제품 테스트 협력을 넘어 다양한 방식이 적용됐다. 해외 기업 M&A를 통해 기술 확보 후 제품을 양산하거나, 정부출연연구소의 기술을 이전받은 중소기업과 협력 R&D를 진행하는 사업이 대표적이다.
정부는 이들 사업에 대해 △R&D △정책금융 △인력 등 포괄적·패키지형 지원을 제공하게 된다. 양산투자 시 △세액공제 △공장 신·증설 시 인허가 기간 단축 △인력고용 제한규정 완화 등 규제특례도 포함된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일본의 수출규제조치는 양국의 불확실성을 높이며 부당한 조치인 만큼 원상회복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 일관된 입장"이라며 "소재부품장비의 공급안정화와 경쟁력 강화 정책을 흔들림 없이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