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인력' 숫자로는 중국 못 따라잡는다…정부가 내세운 전략

머니투데이 김세관 기자 2020.01.19 09:00
글자크기

AI 인재 경쟁력, 미국 대비 절반…"산업 맞춤형 인재 동시 키워 균형 맞춘다"

사진=pexels.사진=pexels.


정부가 올해 AI(인공지능) 전문인력 1200여명을 양성,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가는 역군으로 활용한다. AI 관련 글로벌 경향과 아젠다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석박사급의 고급 인력들을 양성해 내겠다는 내용이다.



글로벌 AI 분야에서 가장 앞서나가고 있는 미국과 중국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인력 인프라를 보완하기에는 1000명의 전문인력 양성 계획은 너무 부족한 수준이라는 지적도 동시에 제기됐다. 2020년을 AI 일등국가 도약 원년으로 삼겠다는 우리 정부가 인력 충원과 관련해 어떤 복안을 갖고 있을까.

AI 인재 경쟁력은 美 절반수준…1000명 인재로 따라잡기는 역부족
지난 1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고한 '2020년 업무계획'에 따르면, 175억원을 투입하는 12개 AI대학원에서 500여명을, 257억원을 투입하는 이노베이션 아카데미에서 700여명의 석박사급 AI 고급인재를 2022년까지 양성한다.



그러나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국내 산업계·학계·연구원 등에서 AI 연구를 하고 있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AI 산업을 선도하는 미국의 인재 경쟁력을 10으로 봤을 때 한국은 절반인 5.2 수준에 불과하다. 2위권인 중국의 8.1보다도 훨씬 낮은 상황이다.

2018년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가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오는 2022년까지 국내 AI 관련 개발인력인 1만명이나 부족할 것으로 전망했다. 캐나다 연구기관 엘리먼트는 우리나라의 박사급 이상 AI 전문가가 170명이라고 발표했다. 박사급 AI 인재가 1만2000명에 달하는 미국은 물론이고 우리나라와 경제 규모가 비슷한 영국 2130명, 스페인 633명에 비해서도 크게 뒤처져 있는 셈.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2022년까지 1000여명의 고급 인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으로는 이미 벌어져 있는 AI 선진국과의 격차를 줄이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전문인력에 더해 산업역군 7000명도 키운다…인재 유출도 막아야
이 같은 지적에 대해 AI 관련 주무 부처인 과기정통부도 어느 정도 인정하는 분위기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도 "미국이나 중국은 굉장히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인력 면에서 우리가 부족한 게 사실"이라며 "소수정예를 양성하는 전략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글로벌 AI 기술개발 경향과 아젠다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석박사급 인력과 함께 산업분야에 곧바로 투입할 수 있는 맞춤형 인재 인재들도 동시에 키워 기술개발과 시장 발전 모두에서 균형을 맞출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 선진국과의 차이를 줄여 나가겠다는 것이 과기정통부의 복안이다.

2018년 12월 발표된 '4차 산업혁명 선도인재 집중양성 계획'에서 2023년까지 산업맞춤형 부트캠프(Bootcamp) 교육을 통해 AI 혁신성장 부문에 즉시 투입할 수 있는 인재 7000명을 양성해 내겠다고 정부가 밝힌 내용이 바로 여기에 해당된다. 당시 과기정통부는 시장이 필요로 하는 인재가 적시에 배출되고 교육과정이 시장수요에 맞춰 발전되고 있는지 지속 점검해 보완이 필요한 과제에 대해서는 별도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관련 학계 및 업계에서는 여기에 더해 양성해 낸 인재들이 국내에서 연구 및 취업을 할 수 있는 환경 조성도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글로벌 수준에 맞는 대우를 통해 고급 인력 및 맞춤형 인재들의 해외 유출을 막아야 국내 AI 일등 국가로 발돋움 할 수 있다는 의견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