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 인재 1000명 양성···AI 일등 국가 만든다(종합)

머니투데이 김세관 기자 2020.01.16 11:40
글자크기

과기정통부 16일 새해 업무계획 보고···5G고도화 추진+미디어 발전방안 수립

DNA 기반 AI 1등 국가 구상도/사진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DNA 기반 AI 1등 국가 구상도/사진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가 올해부터 AI(인공지능)·SW(소프트웨어) 전문인력 1000여명을 양성한다. AI 핵심기술인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기술 개발에도 1조원 가량을 투자한다. 데이터 3법 국회 통과에 따른 후속조치를 시행해 ‘AI 원유’ 데이터 산업 규모도 10조원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12월 마련된 ‘AI 국가전략’에 따라 올해를 AI 일등 국가로 가는 원년으로 삼겠다는 각오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6일 대전 대덕단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정부부처 최초로 업무보고를 갖고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0년도 업무계획’을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2020년은 AI 일등 국가 도약 원년”...‘AI+X’ 발굴 지원
우선 인재양성이다. 4차산업혁명을 이끌어갈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AI 전문 인력 1000여명을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12곳의 AI 대학원 프로그램에 175억원, 이노베이션 아카데미에 257억원을 투입한다. SW중심대학으로 선정된 40여곳에도 800억원이 투입된다. 또 교육부와 협력해 초·중등 AI·SW 시범학교 150개(15억원)를 선정한다. 초등학교 저학년에게는 놀이·체험 중심의 SW·AI 커리큘럼을 편성하고,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학생에게는 SW·AI 필수교육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AI 핵심 기술인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분야 기술개발도 올해부터 시작된다. 2029년까지 총 1조96억원이 투자되는 사업이다. 사람의 뇌 구조와 같은 메모리 기반 컴퓨팅 반도체인 PMI(Processing-In-Memory)와 연산속도 향상을 위한 설계기술, 전력소모량을 낮추기 위한 미래 소자, 미세공정 기술을 개발한다.



AI 중소·벤처기업의 성장을 돕기 위한 AI 전용펀드 3000억원도 조성된다. 이와 함께 AI 시대 예상되는 법제 이슈를 선제적으로 발굴·정비하기 위한 가칭 ‘AI 미래사회 대비 법제정비단’도 올해 구성된다.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AI 융합 과제 발굴을 위해 ‘AI+X’ 사업도 진행된다. 3대 암 등 8대 질환을 예측, 진단하는 AI 기반 ‘닥터앤서’ 같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융합 과제들을 발굴, 지원된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AI 기술 개발에는 반드시 활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붙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며 “AI도 지원하겠지만 연동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X) 개발도 적극 지원하겠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5G 융복합 서비스 개발에 30조·6G R&D에 1조…데이터3법 후속조치 착수
지난해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5G(5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것이 올해 목표다. 5G 관련 융복합 서비스 발전을 위해 민관합동으로 2022년까지 30조원을 투자한다. 다음 세대 이동통신인 6G 초기 주도권 확보 차원의 R&D에도 8년간 1조원을 투입한다.


통신비 부담 완화 방안도 추진된다. 전국 모든 시내버스에 공공 와이파이를 구축하고, 알뜰폰 5G 중저가 요금제와 이동통신3사의 맞춤형 요금제를 단계적으로 출시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오랜 협의 끝에 국회를 최근 통과한 이른바 데이터3법의 효과가 현장에 조속히 나타나도록 6개월 내에 후속법령 정비를 마치고, 부처통합 TF를 통해 데이터경제 활성화 계획도 내놓는다. ‘AI 원유’ 데이터 산업 규모도 10조원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8개 부처 참여 TF서 3월 TF 발표 ‘디지털 미디어 발전안’ 마련

넷플릭스 등 글로벌 미디어 플랫폼들의 국내 시장 공략에 대응해 토종 디지털 미디어 산업을 키우기 위한 범부처 논의도 진행된다. 국무조정실과 과기정통부, 방통위,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고용노동부, 문화체육관광부, 공정거래위원회 등 8개 정부 부처가 참여하는 TF를 구성, 3월까지 가칭 ‘디지털 미디어 생태계 발전 방안’을 내놓는다.

대세 미디어 매체로 떠오르고 있는 OTT(온라인 스트리밍서비스) 등이 자유롭게 혁신할 수 있도록 규제 역시 최소한으로 적용한다. 아울러 과기정통부는 IPTV(인터넷TV) 위주로 재편되고 있는 유료방송에 대한 규제 완화도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현재 승인제인 유료방송 요금을 신고로 바꾸는 방안이 검토 중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새 규제를 도입하는 것은 신중하게, 기존 규제는 과감히 폐지하자는 것이 8개 부처의 공통된 의견”이라며 “국조실에서 TF 단장을, 과기정통부가 지원단장을 맡아 의견을 모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