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년 연속 'FDI 500억불 유치' 목표 달성6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19년 외국인직접투자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FDI 신고액은 233억3000만달러로 잠정 집계됐다. 사상 최고치였던 2018년(269억달러)보다는 13.3% 줄었지만 역대 두번째로 큰 규모다. FDI 신고액은 2015년부터 5년 연속 200억달러를 돌파했다. 신고된 FDI 가운데 실제 한국에 송금된 도착액은 127억8000만달러로 전년대비 26% 줄었다. 이는 역대 4위 규모다.
상반기까진 분위기가 좋지 않았다. 1분기 31억7000만달러, 2분기 67억달러로 각각 전년대비 35.7%, 38.1% 규모가 쪼그라들었다. 반전 흐름은 하반기부터 시작됐다. 3분기 36억1000만달러, 4분기 98억4000만달러로 각각 전년대비 4.7%, 27.9% 늘었다. 특히 4분기 자금조달·기업결합심사 등 문제로 지연되던 대형 투자 프로젝트가 집중 신고되며 역대 4분기 중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미중 분쟁·세제혜택 폐지 속 '반전 성과'

유력한 투자 유치 수단이 사라지자 한국에 대한 외국투자가의 관심도 줄었다. 일선의 지자체 투자유치 담당자들이 투자 문의가 대폭 감소했다며 어려움을 호소할 정도였다. △미·중 무역분쟁 △노딜 브렉시트 △중국경제 둔화 등으로 대외 투자 환경 악화도 부정적 요인이었다.
하지만 하반기 들어 폐지된 세제특례 대신 늘어난 현금지원을 발판으로 외투기업 유치가 살아나기 시작했다. 정부는 지난해 외투기업 인센티브를 현금지원 중심으로 개편해 지원대상 신기술을 2769개 추가하고, 예산은 500억원으로 확대했다.소부장 투자 확대…수출규제가 약 됐다

특히 일본 수출규제 이후 한국 내 탈(脫)일본 움직임을 투자 기회로 인식한 미국, 유럽 등 소재부품 강국 기업의 투자가 확대됐다. 글로벌 기업의 R&D센터를 유치했고, 연구개발·전문·과학기술 분야 투자도 전년 대비 2배 이상 늘었다.
구체적으로 미국의 램리서치는 첨단 반도체 장비 개발을 위한 R&D(연구개발) 센터를 구축하는 데 1억4000만달러를 투자했다.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양극재 생산분야 글로벌 선두기업인 독일 유미코아는 생산거점 구축에 2000만달러를 쓰기로 했다.
K-푸드·K-뷰티 등 고급 소비재, 공유경제 등 IT플랫폼 등 새로운 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은 국내 유망기업을 대상으로 한 M&A(인수합병) 투자도 활발하게 이뤄졌다.
국가별로는 미국으로부터의 FDI 신고액이 전년대비 16.4% 늘어난 68억4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일본발 신고액도 14억3000만달러로 9.9% 늘었다. EU, 중국발 신고액은 각각 71억3000만달러, 9억8000만달러로 같은 기간 20.1%, 64.2% 줄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82억2000만달러, 서비스업이 147억6000만달러로 각각 18.2%, 5.3% 감소했다. 유형별로는 그린필드형 투자가 20.5% 줄어든 159억1000만달러, M&A형 투자는 7.6% 늘어난 74억2000만달러였다.
인센티브 추가 확대…"한국 투자 매력 높인다"

정부는 올해에도 외국인투자 유치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기로 했다. 소재·부품·장비 분야와 미래차, 수소경제, 바이오 등 신산업, 글로벌 R&D센터 등 산업 고도화에 기여할 수 있는 투자를 유치하는 게 목표다.
정부는 첨단 소재·부품·장비 분야 현금 지원 규모를 투자규모 대비 종전 최대 30%에서 40%로 늘리고, 첨단기술투자 현금지원 대상 기술·업종도 2990개를 추가하는 등 인센티브를 강화한다. 현재 국회 계류 중인 외국인투자촉진법 개정안이 통과하면 외투기업의 미처분이익잉여금(사내유보금) 투자도 FDI로 인정하게 돼 재투자 확대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아울러 외국인투자 카라반 등을 통해 추가 투자 수요를 발굴하고 외투기업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등 선제적 유치 활동에도 나설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미국, EU 등에서 전략적 IR(투자설명회)을 개최하고 첨단 유망 기업에 대해서는 선제적으로 투자 인센티브를 제안할 것"이라며 "정부·지자체·유관기관 합동 TF(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적극적으로 투자 애로를 해소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