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빛, 바람, 그리고 의지 뿐'…수소 100년 청사진 호주 가보니

머니투데이 애들레이드·멜버른·브리즈번(호주)=우경희 기자 2020.01.02 04:30
글자크기

['Green수소'가 그린 대한민국 녹색미래]빅토리아 갈탄-남호주 풍력·태양광, 호주 수소계획 양대 축, 한국의 선택은

오웬 샤프 남호주정부 개발담당관이 기자에게 6월 완공될 수소파크 현장을 소개하고 있다. 멀리 보이는 공장 지붕에 설치한 태양광판을 통해 수소파크에서 하루 500kg의 수소를 생산한다는 계획이지만, 아직 부지는 허허벌판이다./사진=우경희 기자오웬 샤프 남호주정부 개발담당관이 기자에게 6월 완공될 수소파크 현장을 소개하고 있다. 멀리 보이는 공장 지붕에 설치한 태양광판을 통해 수소파크에서 하루 500kg의 수소를 생산한다는 계획이지만, 아직 부지는 허허벌판이다./사진=우경희 기자


남호주(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도 애들레이드에는 청명한 하늘 아래 강렬한 햇살이 쏟아졌다. 건조하고 강한 남풍이 계속해서 불어왔다. 기자를 맞은 오웬 샤프 남호주정부 핵심산업 개발담당관은 "남극 방향에서 부는 바람인데, 일년 내내 불어온다"고 말했다.

'여름의 크리스마스' 직전인 지난달 19일 남호주를 찾았다. 남호주는 IEA(국제에너지기구)가 2018년 신재생에너지 순위에서 호주 연방에서 빼내 별도 평가할 정도로 신재생에너지 메카다. 이 조사에서 전체 발전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덴마크(62%)에 이어 47%로 2위에 올랐다. 한국은 2%로 조사 대상 중 꼴찌였다.



남호주의 최대 자원은 태양광과 남극풍이다. 전 국토가 태양광 발전 최적지인 호주에서도 특히 남호주는 풍력 효율까지 가장 높다. 샤프 담당관은 "2001년까지만 해도 발전 대부분을 가스·석탄에 의지했지만 지금은 석탄을 완전 퇴출시켰다"며 "2025년에는 가스도 25% 미만으로 줄일 것"이라고 말했다.

뜻밖의 대정전사태, 그린수소에 눈을 뜨다.
[르포]'빛, 바람, 그리고 의지 뿐'…수소 100년 청사진 호주 가보니
사철 뜨거운 햇살과 매일 불어오는 바람 덕에 신재생에너지 도입 이후 목~일요일에는 늘 전기가 남아돌았다. 남는 전기는 다른 주에 팔고 소화가 안 되면 그대로 소멸시킬 정도로 풍족했다. 그러던 남호주에 3년 전 뜻밖의 재앙이 찾아왔다. 갑작스런 악천후로 인한 대정전 사태였다.



초유의 대정전은 많은 것을 바꿔놨다. 전력 스토리지(저장)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가 발빠르게 남호주에 배터리를 공급했고 호주 스토리지 시장이 열렸다. 전력의 효율적인 사용 방법에 대해서도 고민이 시작됐다.

배터리와 함께 가장 효율이 높고 곧바로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게 수소다. 국제사회 수요도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게다가 전기와 물만 있으면 만들 수 있다. 뒤늦게 시작하고 보니 이미 인근 빅토리아나 퀸즐랜드 주는 수소에 사활을 걸고 있었다.

필연과 우연이 남호주를 그린수소로 이끈 셈이다. 오는 6월 완공 예정인 톤슬리 수소파크는 그 첫 실증단지다. 샤프 담당관은 "독일에서 수전해설비를 운송 중인데 3개월의 테스트기간을 거쳐 하루 500kg의 수소를 생산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내 계획 중인 테스트설비의 두 배다.


톤슬리 수소공원 조감도/사진=남호주정부톤슬리 수소공원 조감도/사진=남호주정부
아직은 맨 땅…톤슬리서 엿보는 한·호주 그린수소 협력공식은
톤슬리 메인건물 옥상에 태양광판이 속속 설치되고 있다. 사진 왼쪽 중단 흙이 드러나있는 지역이 수소파크 예정부지다./사진=우경희 기자톤슬리 메인건물 옥상에 태양광판이 속속 설치되고 있다. 사진 왼쪽 중단 흙이 드러나있는 지역이 수소파크 예정부지다./사진=우경희 기자
톤슬리 수소파크 현장은 아직 말 그대로 맨땅이다. 한국과 호주의 그린수소 협력 논의가 본격화되는 과정에서 가장 우려가 큰 지점이 바로 호주의 최종적 수소양산 여부다. 맨땅에서 양국의 협력을 통해 만들어질 대규모 수소 양산 설비를 상상해내야 하는, 만만찮은 상황이다.

톤슬리 수소파크의 실증계획이 단단하다는 점은 그나마 다행이다. 톤슬리는 미쓰비시와 홀덴(GM호주) 완성차 공장이 있던 제조업의 성지다. 제조업 쇠락으로 문을 닫은 메인 공장동에 스타트업, 대학, 글로벌기업, 교육기관이 찾아들었다. 이 과정에서 톤슬리는 호주 도시재생의 상징이 됐다.

공장동 옥상에 7200여개가 넘는 태양광패널을 깔아 수소파크의 에너지원으로 쓴다. 수소파크에서 만든 수소는 95%의 천연가스에 5%의 수소를 섞어 가정용 연료로 인근 700가구에 공급할 예정이다. 이어 인근 제철소 및 수소전기차 충전용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샤프 담당관은 "가정·산업·모빌리티 실증을 동시에 하는 대단히 의미있는 투자"라고 말했다.

절박한 호주 "석탄의 시대 저물었다"
톤슬리 수소파크 동력 구축을 위한 폐 공장 메인건물 지붕 태양광판 설치작업이 한창이다./사진=우경희 기자톤슬리 수소파크 동력 구축을 위한 폐 공장 메인건물 지붕 태양광판 설치작업이 한창이다./사진=우경희 기자
잠시의 과도기를 천연가스 등이 메우고 있지만 호주는 오래도록 석탄과 철광석의 시대를 살았다. 둘 다 수명이 다해간다. 석탄의 탄소배출은 인류의 가장 큰 위협이며 철광석은 가벼운 신소재로 빠르게 대체되고 있다. 호주가 향후 100년을 바라보는 에너지 대전환을 준비하는 이유다.

양산 계획도 세웠다. 애들레이드 북단 크리스탈브룩에 50MW 규모로 풍력과 태양광을 결합한 수소생산단지를 짓는다. 필립 도텔 톤슬리프로젝트 이사는 "호주가 수소를 선택한 것은 수소가 친환경적이고, 미래지향적이며, 또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크리스탈브룩 프로젝트는 최근 어렵게 주민 공청회를 통과했다. 퀸즐랜드와 빅토리아 등 경쟁 주들도 눈여겨 보고 있다. 수소파크의 40배 수준인 하루 2만kg의 수소 생산이 목표다.

크리스탈브룩은 곧 그린수소 양산을 의미한다. 또 양산은 가격 하락을 의미한다. 높은 생산단가는 그린수소의 가장 큰 부담요소다. 과연 그린수소 생산단가를 한국이나 일본, 중국 등 잠재적 고객들의 기대 수준까지 끌어내릴 수 있느냐가 크리스탈브룩에서 입증된다는 의미다.

결국 시장은 가격으로 판단, 수소값 얼마가 될까
호주 퀸즐랜드공대(QUT) 이안 맥키넌 교수가 기자와 만나 퀸즐랜드주(브리즈번)의 친환경수소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사진=우경희 기자호주 퀸즐랜드공대(QUT) 이안 맥키넌 교수가 기자와 만나 퀸즐랜드주(브리즈번)의 친환경수소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사진=우경희 기자
경쟁자인 빅토리아주는 이미 10년 이상 일본과 수소산업 협력을 하고 있다. 갈탄이 원료다. 수소를 만들면서 나오는 탄소는 지층 깊숙한 곳에 저장한다. 저장기술(CCS)의 완성도가 관건이다. 개질 과정에서 엄청난 양의 탄소가 나오는데도 일본이 선택한 이유는 값이 싸기 때문이다.

호주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CSIRO)는 갈탄 수소의 현재 값을 kg당 5~6호주달러로 본다. 남호주 정부는 그린수소의 값을 8~12호주달러로 본다. 갈탄수소가 더 싸다. 하지만 얼마가 될지 모를 운송 비용을 감안하면 지금으로서는 둘 다 경제성이 없다.

빅토리아주는 갈탄수소 가격을 최종적으로 2호주달러까지 떨어뜨릴 방침이다. 남호주 그린수소도 2호주달러가 목표다. 샤프 담당관은 "2호주달러면 미화 1.2달러(1400원)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의 경우 2030년 수소가격 목표가 3000원(kg당)이다.

남호주는 크리스탈브룩을 2022년 가동할 방침이지만 한국과 일본 등 수요처의 결단이 전제다. 도쿄올림픽에 맞춰 갈탄수소를 실어가겠다는 일본도 일단 수지타산 맞추기는 포기했다. 대량 운송을 위해서는 대형 초저온 액화수소 선박도 지어야 한다. 첩첩산중이다.

호주가 묻는다 "한국은 왜 호주를 의심하나"
빅토리아주(멜번) CSIRO 소속 크리스 머닝스 박사가 한국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우경희 기자빅토리아주(멜번) CSIRO 소속 크리스 머닝스 박사가 한국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우경희 기자
그런데도 한국과 중국, 일본 등 동북아 삼국이 반응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호주가 양산에 가장 근접해있기 때문이다.

호주는 일본과 비교할 때 한국의 적극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고 보고 있다. CSIRO의 이우진 박사는 "일본이 갈탄 프로젝트로 논문을 낸 게 후쿠시마 사태 이전인 2000년대 중반이고, 도쿄올림픽을 계기로 수소 대전환을 계획하고 있다"며 "한국과의 협력 논의는 여전히 간헐적으로만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호주의 수소 양산 가능성에 의문부호를 붙이는 한국에 오히려 호주 전문가들은 반문했다. 이안 맥키넌 퀸즐랜드공대(QUT) 교수는 기자에게 "양산이 되느냐를 묻기 전에 한국이 수소를 얼마나 사갈지를 확실하게 밝혀주는 게 순서 아니냐"고 말했다.

CSIRO의 크리스토퍼 머닝스 박사는 "한국은 호주와 이미 똑같은 과정을 통해 LNG(액화천연가스) 협력을 하고 있다"며 "자원 수출로 살아온 호주가 이제는 석탄, LNG 대신 수소를 수출할 모든 준비가 돼 있다는데, 한국이 대체 왜 호주를 의심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