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진 특감반원, 백원우 첩보활동 핵심…검찰 극단적 선택 배경도 규명(종합)

머니투데이 김태은 , 이정현 기자 2019.12.02 11:46
글자크기

[the L]"총장(윤석열)과 가족에게 미안" 메모 남겨…첩보 문건 하달 경로 청와대 관계자들 소환 전망

(서울=뉴스1) 구윤성 기자 = 청와대의 김기현 전 울산시장에 대한 '하명 수사' 의혹에 연루됐다고 지목된 전 청와대 민정비서관실 특감반원 A씨가 1일 숨진 채 발견됐다.  검찰과 경찰 등에 따르면 서울동부지검 소속 검찰 수사관인 A 전 특감반원은 이날 오후 서울 서초구 소재 지인의 한 사무실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현장에는 가족에게 미안하다는 취지의 자필 메모가 발견된 것으로 파악됐다.  A씨는 이날 김기현 전 울산시장에 대한 첩보 문건 검찰 수사와 관련해 서울중앙지검에 참고인으로 출석할 예정이었다. 검찰은 정확한 사망 경위를 파악 중이다. 사진은 A씨가 발견된 서울 서초동의 한 오피스텔 사무실. 2019.12.1/뉴스1   (서울=뉴스1) 구윤성 기자 = 청와대의 김기현 전 울산시장에 대한 '하명 수사' 의혹에 연루됐다고 지목된 전 청와대 민정비서관실 특감반원 A씨가 1일 숨진 채 발견됐다. 검찰과 경찰 등에 따르면 서울동부지검 소속 검찰 수사관인 A 전 특감반원은 이날 오후 서울 서초구 소재 지인의 한 사무실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현장에는 가족에게 미안하다는 취지의 자필 메모가 발견된 것으로 파악됐다. A씨는 이날 김기현 전 울산시장에 대한 첩보 문건 검찰 수사와 관련해 서울중앙지검에 참고인으로 출석할 예정이었다. 검찰은 정확한 사망 경위를 파악 중이다. 사진은 A씨가 발견된 서울 서초동의 한 오피스텔 사무실. 2019.12.1/뉴스1


청와대의 '하명수사' 의혹과 관련해 전 청와대 민정비서관실 특별감찰반원이 검찰 조사를 앞두고 숨진 채 발견됐다. 검찰은 백원우 전 청와대 민정비서관의 이른바 '별동대' 소속 핵심 인물로 숨진 특감반원이 진상규명의 '키'를 쥐고 있다고 판단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2일 검찰 등에 따르면 서울동부지검 소속 A 수사관은 전날 서울 서초구 소재 한 사무실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A수사관은 이날 오후 6시 서울중앙지검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할 예정이었다. 현장에서는 '총장님(윤석열 검찰총장)께 죄송하다' '가족에게 미안하다'는 취지의 자필 메모가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A수사관은 특감반실에 근무할 때 일명 '백원우 특감반'이라고 불렸던 별도의 팀에서 활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백원우 특감반 중 일부는 지난해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울산에 내려가 김기현 당시 울산시장 측근 수사상황을 점검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A수사관은 현재 논란이 불거지고 있는 황운하 대전지방경찰청장(당시 울산지방경찰청장)과 송철호 울산시장의 장어집 회동과 관련된 인물로 전해졌다.

A수사관은 '백원우 특감반'에서도 특히 백 전 비서관의 신임을 받고 극도의 보안이 요구되는 첩보 활동을 주로 담당했다고 검찰은 보고 있다. 김 전 시장 관련 정보 역시 그가 직접 울산에 내려가 첩보를 수집해 백 전 비서관에게 보고했다는 내용에 대해 검찰이 조사를 진행하던 중이었다.



이와 관련해 A수사관은 최근 울산지검에서 관련 내용에 대해 한 차례 조사를 받았으나, 청와대는 이른바 ‘고래고기 사건’ 때문에 검찰과 경찰이 다투는 것에 대해 부처 간 불협화음을 어떻게 해소할지 알아보기 위해 특감반원들이 울산경찰청을 방문했다며 김 전 시장에 대한 첩보 활동과는 무관하다고 부인했다.

그러나 검찰은 A수사관이 김 전 시장은 물론 다른 정치인들에 대한 첩보를 입수한 후 이를 청와대와 일선 수사기관에 연락하는 중간책 역할을 한 것으로 파악하고 그에 대한 조사가 청와대 민정비서관실의 직권남용 등의 의혹을 밝혀낼 핵심 단계로 판단하고 있었다.

A수사관에 대한 조사를 거친 후 백 전 비서관에 대한 소환 조사와 청와대 민정비서관실 강제수사 등이 속전속결로 이뤄질 것이란 관측도 나왔다. 검찰은 조만간 문건 하달 경로를 거친 경찰 관계자와 전·현직 청와대 인사들을 소환할 전망이다.


검찰은 A수사관이 유명을 달리한 것에 대해 깊은 애도를 표하면서 극단적 선택을 하게 된 배경에 대해서도 철저하게 규명을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A수사관이 윤 총장을 언급하며 "미안한다"고 자필 메모를 남긴 것에 대해 안타까워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검찰은 전날 A 수사관의 사망 소식에 대해 공식적으로 "고인은 최근까지도 소속 검찰청에서 강한 책임감을 바탕으로 성실하게 근무해오신 분"이라며 "유가족들께 깊은 애도를 표한다"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