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이 같은 내용의 '사드배치 이후 3년간의 한·중 경제관계(무역·투자·관광 분야) 동향 분석'을 11일 발표했다.
한국은 2016년 7월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를 최종결정했다. 이후 중국은 △한국 단체관광 제한 조치(2016년 8월10일) 조치 △신에너지 자동차 보조금 지급차량 5차 목록 중 한국산 전기차 배터리 제외(2016년 12월29일) △롯데마트 100곳 중 80개 영업제한(2017년 3월6일) 등 한국기업에 대한 각종 영업제한 등의 규제를 단행했다.

전경련은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일본 관광업계가 반사이익을 누리게 됐다고 덧붙였다. 올해는 중국 정부의 한국관광 제한조치가 다소 풀리면서 9월까지 방한 중국인은 전년 동기 대비 27.1% 증가한 444.4명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중국 투자는 2016년 40.3억 달러에서 2018년 56.6억 달러로 40.3%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중국의 한국 투자도 20.5억 달러에서 27.4억 달러로 33.7%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한중 상호투자규모는 2016년 60.8억 달러에서 2018년 84.0억 달러로 38.2%(23.2억 달러) 늘었다.
이런 수치는 사드 사태 이후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외자 유치 방침'에 따른 것이다. 이 기간에는 한국 기업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의 기업도 대중 투자를 크게 늘렸다.
엄치성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사드 사태 후 한국 기업의 베트남, 인도 등에 교역·투자가 확대되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중국은 한국의 교역·투자·관광 제1위국"이라면서 "'한중FTA 서비스·투자 후속협상' 마무리와 함께 시진핑 주석의 방한 성사를 통해 한중관계 정상화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전경련은 다음 달 9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중국 산동성 상무청과 함께 '한-산동성 경제통상 협력 교류회'를 개최하고 양국 관계 정상화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